12월 국내 중고차 거래량 14.4% 급감
연평균 19000대...고금리 이후 5, 6000대 감소
현재 최고 금리 19.90%, 최저 금리 4.90%
한국은행의 잇단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지속되면서 중고차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내 중고차 거래량은 28만 5976대로 1년 전(33만 4054대) 대비 14.4% 급감했다. 전북도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전라북도신자동차매매사업조합에 따르면 고금리 이전 중고차 판매량이 연평균 1만 9000대를 기록했지만 고금리 이후 현재 5000∼6000대 가량 줄었다.
중고차 구매 시 30% 이상이 할부를 이용하는데 이자가 오르면서 매출이 줄었다는 분석이다. 여신금융회사 공시에 따르면 현재 17개 캐피탈 및 카드사의 중고차 할부(나이스 신용평가, 900점 초과, 36개월 할부 기준) 최고 금리는 19.90%, 최저 금리는 4.90%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4∼11%였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올랐다.
소비자의 할부 금리, 중고차 업계 재고 금융 금리까지 모두 오르며 소비자, 판매자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전주 중고차 판매 업체 62곳이 입점해 있는 전주 장동자동차매매단지의 경우도 소비자들이 발길이 끊긴지 오래다.
평상시 같으면 소비자들과 딜러 간의 흥정하는 모습이 흔하게 보였지만 지난 2일 방문한 이곳에 손님은 물론 딜러마저 찾기 힘들고 건물을 지키는 것은 업체 관계자와 청소원이 전부였다.
20여 곳의 판매점이 있는 전주 송천동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
평상시 매일 20~30건의 거래가 이뤄졌지만 대출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올해 들어서는 하루 한 두 건도 어렵다는 게 이곳 딜러들의 설명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한때 100여 명까지 있었던 이곳 판매점에 하나둘 딜러들이 떠나면서 이제는 채 20여 명도 남지 않게 됐다.
최기운 전라북도신자동차매매사업조합장은 "먹고살기 힘드니 이자 때문에 중고차 업계 간 경쟁은 심해지고 중고차는 안 팔리고 이자는 오르니 손해를 보면서 장사를 하는 상황이다. 정부나 지자체 등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중고차 딜러들도 하나둘 떠나고 있다. 건물 짓고 개발해 일자리를 창출하기보다는 지금 있는 사람들을 지켰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