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3-03-25 23:44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오피니언

전북에서 본 튀르키예의 희망

image

 지금부터 대략 200여 년 전 조선한양 인구가 20만 명 남짓할 때, 전 세계를 통틀어 인구 100만 명이 넘는 도시는 중국의 베이징, 일본의 에도(=도쿄), 튀르키에의 이스탄불 등 단 3곳에 불과했다. 베이징이나 에도는 그렇다 치고 런던이나 로마, 파리가 아닌 이스탄불이 인구 면에서 당당히 세계 3대 도시에 랭크될 만큼 엄청난 곳임을 알 수 있다. 이스탄불(=콘스탄티노플)은 로마의 수도가 동로마로 이전하면서 만들어진 신도시다. 얼마 가지 못한 서로마제국과 달리 동로마제국은 천년의 세월을 이어갔는데 1453년 오스만튀르크가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하고 이스탄불로 바꿨다. 조선에서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소위 계유정난이 있던 해의 일이다. 오스만제국의 통치는 1923년 터키공화국 탄생과 함께 종식됐고 올해는 터키공화국이 출범한지 꼭 100주년이 되는 해다. 해외 여행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도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등 서유럽 국가에 대해서는 막연한 동경을 하면서도 막상 튀르키에나 이라크, 발칸반도, 중국 등은 한수 아래라고 지레 짐작하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 하지만 튀르키에 한 나라만 제대로 짚어봐도 이런 생각이 얼마나 편협한 것인지 절감하게 된다. 이스탄불 여행의 백미인 돌마바흐체 궁전에는 아주 특이한게 있다. 시계가 9시5분을 가리킨 채로 멈춰져 있다. 고장난게 아닌가 생각했는데 실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을 합친 사람쯤 되는 무스타파 케말파샤 아타튀르크(초대 대통령)가 사망한 시각을 가리킨다. ‘호 아저씨’로 일컬어지는 베트남의 호찌민 같은 사람이 바로 아타튀르크다. 그의 유지를 받들어 요즘 한참 성장가도에 들어선 튀르키예가 상상치도 못한 대지진으로 인해 공황 상태다. 터키라는 명칭이 영어 칠면조(turkey)를 연상케 한다고 해서 튀르키예로 바꾼게 불과 3년전인데 막 용트림을 하려는 마당에 이런 어려움이 닥쳤으니 지구촌 모두가 힘을 모아 도와야 한다. 한국전쟁 참전국이자 2002 월드컵 4강 상대였던 튀르기예에 대해 전북도민들도 매우 우호적이다. 그래서인지 요즘 도내에서도 카이막 이라고 하는 튀르키예 전통 음식이 매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고 한다. 전주, 김제를 비롯한 몇몇 카페에는 터키빵과 카이막을 즐기려는 매니아들이 제법 두텁게 형성됐다. 잠시 머무는 것만으로도 튀르키예 여행을 온 것 같은 감성을 느낄 수 있기에 꿀, 직접 구운 빵과 함께 즐기는 카이막이 젊은이들 사이에 인기여서 때론 오픈런을 할 정도다. 카타르 월드컵 스타인 전북 현대 조규성 선수는 지난달 유럽축구연맹(UEFA) 리그랭킹 12위로 평가되는 튀르키예 무대 진출 관련 보도가 잇따르면서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지구촌 먼곳에 있지만 절망에 빠진 튀르키예 국민들이 각지에서 전해지는 위로와 격려에 힘입어 희망의 끈을 놓지않고 불끈 일어나는 모습을 보고싶다. 위병기 수석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튀르키예의 희망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