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고물가·고금리에 가계·기업 모두 위축

1년 새 바닥 찍은 전북지역 소비자심리지수
올 2월 84.4p로 11월(84.6)보다도 0.2p 하락
경제 위축 현상으로 금융기관 여수신도 위축

image
2022년 6월∼2023년 2월 소비자심리지수/사진=한국은행 전북본부 제공

고물가·고금리 현상이 길어지면서 전북지역 소비자심리지수가 1년 새 바닥을 찍었다. 경기침체로 금융기관의 대출 증가폭이 축소됐고 전체 가계대출 잔액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2023년 2월 전북지역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가 전월(87.4)보다 3.0p 하락한 84.4p를 기록했다.

최근 1년 동안 가장 낮았던 지난해 11월(84.6)과 비교해 0.2p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현재 전북지역 소비자 심리가 최악인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기준값인 100보다 크면 소비자 심리가 낙관적이고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현재 전북지역 소비자의 심리는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재정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 주는 현재생활형편(82→81), 생활형편전망(84→79), 가계수입전망(91→89), 소비지출전망(106→105), 현재경기판단(49→45), 향후경기전망(56→55) 모두 전월보다 하락했다.

가계 저축 및 부채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 주는 현재가계저축(83→85), 가계저축전망(85→86), 현재가계부채(103→105), 가계부채전망(103→104)은 전월보다 상승했다.

물가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 주는 물가수준전망(145→145)은 전월과 동일했으며 주택가격전망(71→74), 임금수준전망(107→111)은 모두 전월보다 올랐다. 

경제가 위축된 것은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날 발표한 '2022년 12월 중 및 연간 전북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예금은행 여신(대출) 증가폭은 2021년(8727억 원) 대비 2022년(4761억 원) 3966억 원 축소됐다. 수신(예금) 증가폭은 2021년(1조 3231억 원) 대비 2022년(2조 5383억 원) 1조 2152억 원 확대됐다.

고물가·고금리 등 경제 위축 현상이 이어지면서 여신 증가폭은 기업대출이 소폭 확대에 그쳤고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줄었다.

수신 증가폭은 주식과 코인, 부동산 등 위험자산 선호도는 하락하고 예·적금 등 안전자산 선호도가 상승하면서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한편 12월 말 전북지역 금융기관 기업대출 잔액은 38조 3560억 원으로 전월 대비 1990억 원 증가하고 가계대출 잔액은 28조 2524억 원으로 전월 대비 28억 원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박현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②‘V10 주역’ 전북현대 스타들의 고백

익산‘홀로그램의 도시’ 익산에서 엑스포 열린다

사건·사고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7명 매몰 추정"

정치일반전북도, 관광 슬로건 공모 ‘HEY! 전북여행’ 최우수상 선정

영화·연극제4회 민족민주전주영화제 14일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