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1단계 종사자 1600여명 중 46% 가량 타지에서 출퇴근
"2단계 본격화 맞춰 인구 유입 위한 근로자 정주 여건 조성을"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배후도시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1단계 산업단지 입주기업 근로자 1600여명 중 46% 가량이 타지에서 출퇴근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2단계 조성이 본격화되면 정주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지속적으로 인구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 근로자 정주 여건을 마련해 인구 유입을 꾀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배후단지 조성 필요성은 1단계 시작 단계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고, 2012년 7월 발표된 국가식품클러스터 종합계획안(Master Plan)에도 포함됐다.
하지만 정부가 아닌 자치단체가 예산을 부담하는 구조인데다 사업 초기 수요 부족 등의 이유로 지지부진했다.
익산시가 지난 2018년 4월부터 추진했던 국가식품클러스터 식품문화도시(배후도시) 기본계획 용역은 그해 11월 중단됐고, 국내 유일 식품 전문 산업단지라는 대형 국책사업의 파급효과를 익산시가 온전히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지만 더 이상 진척은 없었다.
현재 국가식품클러스터 1단계 산업단지는 126개 기업이 계약을 체결했고 108개의 공장(벤처기업 포함)이 가동 중이며, 1600여명이 근무를 하고 있다.
이중 54%는 익산에 주소를 두고 거주하고 있지만, 나머지 46%는 인근 완주나 전주, 전북 혁신도시, 서울 등지에서 출퇴근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쾌적한 정주 여건을 조성해 근로자 편의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인구가 유입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배후도시 조성 필요성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면서 “2단계 조성 사업 시행자가 정해지면 2018년 용역을 보완해 2단계와 배후단지를 함께 조성하는 방안을 적극 건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발행위 허가제한지역 지정과 토지거래 허가구역 지정 이후 올해 연말 예비타당성 조사 이전에 사업 시행자가 정해질 예정이며,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별도의 협의를 하고 있다”면서 “배후도시 조성 전까지 산업단지 내 올해 9월 준공 예정인 공동주택 674세대와 단독주택·준주거 72세대를 활용해 주거 수요에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18년 용역 당시 배후도시 계획은 570억 원 투입, 약 30만㎡(약 9만평) 규모 주거단지 조성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