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가 들어선다고 했을 때 작은 농촌마을에 활력을 불어넣고, 주변 발전에도 기여할 줄 알았는데 오히려 골칫덩어리로 전락할 줄은 몰랐습니다.”
군산 개정면에 사는 장모 씨(59)의 말이다.
그가 이처럼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이유는 집 근처에 공사 중단 된 아파트가 장기간 방치되고 있기 때문.
이로 인해 아름다운 마을 주변 경관이 훼손되고 있을 뿐 아니라 범죄 및 안전 사각지대로 점차 변해가고 있다는 게 장 씨의 주장이다.
장 씨는 “이대로 가다간 자칫 지역 대표 흉물로 전락하지 않을까 주민들 모두 걱정하고 있다”며 “(관계기관에서) 대책을 세워 달라”고 호소했다.
군산의 초입 중 하나인 개정면 통사리 일대에 짓다 만 아파트가 있지만 재공사 여부는 안개속이어서 주민들의 불만과 우려를 사고 있다.
문제의 장소는 3년 전 계약금과 중도금 환급 문제로 입주 예정자들의 애를 태웠던 수페리체 공공임대아파트.
이곳 아파트는 지하 1층~지상 25층, 6개동 총 492가구 규모로 추진됐으며 당초 지난 2015년 착공에 들어가 2018년 완공될 계획이었다.
특히 492세대 가운데 90%가 넘게 임대계약이 이뤄질 만큼 인기도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곳 아파트 공정률은 약 79%에서 멈춰진 채 더 이상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곳은 그 동안 건설사의 자금난으로 준공 및 입주가 계속 미뤄지다 결국 논란 끝에 2020년 2월 임대보증 사고사업장으로 처리됐다.
이후 아파트 보증기관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환급 절차를 이행, 입주민들의 대규모 피해 사태는 막을 수 있었지만 건설사 측과 소유권 다툼이 이어지면서 수년 째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그 사이 농촌마을 중심에 위치한 수페리체 아파트는 점점 흉물로 변해가는 모습이다.
실제 9일 찾은 공사 현장은 대낮임에도 을씨년스런 분위기를 풍기고 있었다.
철판으로 주변을 막아놨지만 허술하기 그지없고,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출입도 가능해보였다.
또한 컨테이너와 각종 공사 자재물이 너저분하게 있었을 뿐 아니라 수 년 간 공사가 이뤄지지 않다보니 그야말로 주변이 어수선한 상태였다.
한 주민은 “밤에는 오싹한 기분마저 든다”면서 “개정면은 군산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어서 군산을 찾는 관광객이나 외지인에게도 방치되고 있는 아파트가 좋을 리 없다. 빨리 공사가 시작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보증공사에서) 소유권 이전 절차를 밟고 있지만 이에 따른 소송이 장기화 되면서 재공사가 기약 없이 늦어지고 있다”면서 “다만 이곳 아파트의 문제가 하루 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이에 따른 협조를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