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외면 받던 못난이 농산물 인기
등급 판정에 폐기 처분하는 일 다반사
못난이 농산물만 찾는 소비자에 인기 실감
못난이 농산물 전문 판매장까지 생겨나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고물가 흐름에 모양이 울퉁불퉁하고 크기가 작거나 크고 생산·유통 과정에서 흠집이 났다는 이유로 외면 받아온 못난이 농산물이 주목받고 있다.
못난이 농산물은 맛과 품질에는 이상이 없지만 크기, 모양 등에 상품 가치가 떨어져 납품·판매가 어려워 버려지는 농산물을 의미한다.
그동안 못난이 농산물은 규격 외 등급 판정으로 납품·판매가 어렵게 되면서 처치 곤란한 존재로 여겨졌다. 등급 판정에 따라 건강원에서 즙을 짜거나 이마저도 건강원에서 거부하면 폐기 처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못난이 농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농부·소비자 모두 못난이 농산물의 인기를 반기는 분위기다. 농부는 공들여 키운 농산물을 폐기하지 않아도 되고 소비자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농산물을 살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다.
김제에서 토마토를 재배하는 청년 농부 권보민(25) 씨는 "한 번 수확할 때마다 못난이 농산물의 양이 100kg에 달한다. 상황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밭 앞에 산처럼 쌓아 두고 폐기 처분하는 일이 있었는데 모든 농부가 그렇겠지만 진짜 가슴이 찢어진다"며 "늦었지만 못난이 농산물이 인기를 얻게 된 건 긍정적인 신호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못난이 농산물의 인기를 증명하듯 전북지역에는 못난이 농산물 전문 판매장까지 생겼다.
품목에 따라 시중보다 적게는 20%, 많게는 5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어 시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다. 재고가 없어 못 파는 정도다.
이곳을 운영하는 국현명(31·노모어레프트 청년 대표) 씨는 "농촌에서 외형적 규격으로 인해 저평가되고 버려지는 농산물이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농부가 사랑과 관심을 덜 준 것도 아닌데 버려지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있었다. 못난이 농산물 판매는 농부·소비자 모두에게 좋고 환경에도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 시작한 일이다"고 했다.
유통업계도 소비자의 고물가 부담을 줄이고 농가 상생을 위해 기획전 등으로 못난이 농산물을 취급하는 등 못난이 농산물 납품·판매에 앞장서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