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7:06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람들
자체기사

[다시뛰는 재경 전북기업인] "혁신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로 국내 유아동 교육시장 공략"...기존 시장에 도전장

‘엘포박스’ 장현우…’LG디스플레이 사내 벤처기업’ 출신
홈스쿨 기기 ’톡톡박스’…55인치 기반 유아동 교육 콘텐츠 제공
출시 3개월만에 시장 반응…장기적으로 ‘콘텐츠 플랫폼’ 성장 목표

image
에듀테크 스타트업 ‘엘포박스(L4BOX)’의 장현우 대표.

국내 대기업 사내벤처 기업에서 분사한 전북 출신 벤처사업가가 유아동(4∼7세) 디지털 교육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에듀테크 스타트업 ‘엘포박스(L4BOX)’ 장현우 대표(40·전북 남원·사진). 엘포박스는 ’LG디스플레이 사내 벤처기업’이다.

장 대표는 올 3월 어린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스마트 홈스쿨 기기 ‘톡톡박스’를 시장에 내놓았다.

종이와 칠판 등 아날로그 교구를 디지털화해 어린이들이 TV를 통해 교육·놀이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제품으로, 터치 기능 기반의 게임류 및 인터랙티브 유형의 학습 콘텐츠 등이 제공된다. 특히 화면 속 해저나 숲속 등을 보고 만질 수 있는 ‘3D 상상 라이브 월 콘텐츠’는 톡톡박스만의 강점이다.

장 대표가 여타 제품에 비해 가장 자신하는 부분은 ‘넓은 화면’.

기존 어린이 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아이패드와 갤럭시탭 등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과 달리 톡톡박스는 55인치 대형 터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화면이 넓어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온 가족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데다, 대형 화면임에도 불구하고 화면 속 사물을 만지며 체험할 수 있는 등 정교한 터치감을 자랑한다.

여기에는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인터치’ 기술이 자리한다.

‘인터치’는 LCD패널 안에 터치센서를 삽입한 기술로, 정교한 터치감과 선명한 화질이 특징이다.

대학원(한양대 전자컴퓨터통신 전공) 졸업 후 LG디스플레이 연구소에서 12년간 근무하며 ‘인터치’ 개발에도 참여(알고리즘 분야)했던 그는 전자칠판이나 키오스크 등에 활용되던 ’인터치’를 교육 콘텐츠에 접목한 아이템을 구상했다.

그의 구상은 사내 벤처기업 선정으로 이어졌고, 1년여의 연구개발 끝에 상용화 및 제품화에 성공하고 2021년 말 독립했다.

장 대표의 홀로서기는 시장 출시에 앞서 참가한 각종 전시회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했다.

지난해 9월 교육부·산자부 에듀테크 코리아(우수상)와 그해 11월 서울 국제 유아교육관 전시회 투자경진대회(1등), 올 1월 교육부 주관 대한민국 교육박람회에서 전망있는 제품으로 선정되는 등 주목을 받았다. 적잖은 가격(440만 원)임에도 전시회에 참가한 일부 고객은 즉각 구매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올 3월부터 서울 서초구 소재 국공립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을 대상으로 판매활동을 시작한 그는 3개월여만에 10여대가 판매되는 등 시장 매출이 빠르게 일어나는 것을 보고 자신감을 얻었다.

그는 “시장에서는 ‘프로그램이 혁신적이고 신선하다’는 반응이며, 무엇보다 아이들과 부모·선생님이 함께 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을 받고 있다"며 "톡톡박스만의 강점을 토대로 틈새시장이랄 수 있는 대형 터치 디스플레이 기반 국내 유아동 학습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 발 더 나아가 ‘콘텐츠 플랫폼’으로의 성장도 꿈꾸고 있다.

현재 엘포박스가 개발한 콘텐츠는 40여개. 여기에 국내 유명 교육 콘텐츠 기업인 D사를 비롯해 10여개 업체의 콘텐츠도 함께 서비스하고 있다.

장 대표는 “앞으로 교육 콘텐츠 보유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콘텐츠를 공동 개발하는 것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보다 다양한 교육 관련 기업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플랫폼으로의 성장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준호 kimjh@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람들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