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익산 미륵산성 발굴성과 현장설명회 개최
익산 미륵산성 정상부 아래 평탄지에서 흙으로 쌓아 만든 백제시대 추정 방어용 시설 토루와 수차례 개축된 석축 저수조가 새롭게 확인됐다.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올해 3월부터 최근까지 이번 발굴조사를 진행한 익산시와 (재)전북문화재연구원(단장 최완규)은 22일 오후 2시 현장설명회를 통해 발굴조사 성과와 출토유물을 국민에게 전격 공개한다.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에 위치한 익산 미륵산성은 익산 미륵사지 문화재구역 내 소재 백제왕도 핵심유적으로 미륵사지의 배후에 있는 미륵산(해발 430.2m) 정상부와 동쪽 사면을 감싼 포곡식 산성(산정상부에서 계곡을 포함하고 내려온 능선부에 성벽을 축조한 산성)이다.
북쪽으로 낭산산성, 남동쪽으로 선인봉산성, 당치산성이 조망되고 동쪽으로는 용화산성과 천호산성으로 연결돼 넓은 범위의 조망이 가능한 방어 요충지다.
미륵산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90년을 시작으로 총 3차례에 걸쳐 이뤄졌다.
그동안의 발굴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 이후로 추정되는 문지(동문지, 남문지), 옹성, 치성, 건물지 등이 확인됐다.
백제시대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백제시대 토기편만 다수 출토되기도 했다.
이번 발굴조사는 삼국(백제)시대와 관련된 유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미륵산성 정상부(장군봉) 아래 평탄지를 대상으로 진행됐는데 이 곳은 기존 지표조사에서 백제시대 지명인 ‘金馬渚城(금마저성)’명문기와가 수습된 곳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이번 발굴 조사 결과. 반원형 형태의 토루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규모는 너비 9.8m, 잔존 높이 3.1m, 둘레는 약 77.3m에 달한다.
성질이 다른 흙을 사용해 교차로 쌓고 중간에는 토류석을 시설했다.
필요에 따라 방향을 달리해 경사성토를 하는 등 당시 축조 기술력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됐다.
또한, 이번에 새롭게 확인된 석축 저수조는 현재까지 최소 4차례에 걸쳐 수개축이 이뤄진 것으로 판단됐다.
1차는 원형이며 직경 7.5m, 높이 0.6m 규모로 4단 정도가, 2차는 말각방형이며 남북 길이 3.5m, 높이 0.6m의 규모로 4단 정도가, 3차는 장방형이며 남북 길이 7.8m, 동서 너비 6.5m, 높이 1.5m의 규모로 7단 정도가 남아 있다.
4차는 방형이며 동서 너비 5.6m의 규모로 1단만 남아있다.
석축 저수조 내부에서는 삼국시대 토기와 통일신라시대 이후 대호, 평기와 등이 출토됐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문화재청과 함께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익산 미륵산성에 대한 진정성 있는 정비와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역사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등 유적의 보존 관리 향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