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최초' 한국 효지도사협회장 선출된 소순갑 총재
전북노인복지효문화연구원 이끌며 효지도사 양성해와
"국내 효지도사 8000여 명은 오늘도 '효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슬로건으로 열심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도 전북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에 효를 살린다는 사명감으로 함께 하겠습니다."
'효'운동에 앞장서온 전북 1호 '명예 효학박사' 소순갑(82) 전북노인복지효문화연구원 총재가 전북에서 최초로 한국효지도사협회장으로 선출됐다.
효문화 확산을 위해 올곧게 한길을 걸어온 소순갑 회장의 바람은 한 가지다. 더욱 많은 사람들과 만나 바른 효인성교육을 하고 싶다는 것.
소 회장은 "현재 각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효인성교육을 하고 있는데, 특히 전북에서는 효지도사 양성과 효문화 증진을 위해 더욱 많은 힘을 싣고 있다"고 말했다.
'효학교', '효박사', '효지도사'라는 말은 다소 생소하지만 1년에 10여 명씩 효지도사가 배출되고 있는 만큼 '효문화'는 우리가 제대로 알고 보전해야 할 가치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 협회에서도 남다른 책임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소 회장은 "전북에서 전국 효운동을 끌고나가는 회장이 됐다는 점에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지금까지 전북이 모범적으로 해왔던 일을 전국 곳곳으로 확산시킨다는 생각으로 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국효지도사협회 인증 '효지도사' 자격증은 인성교육전문대학원 성산효대학원대학교에서 관련 과목을 이수하면 발급해준다. 전주에서는 최근 19기 수료식을 했으며, 전북지역에서 효지도사 5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 등 사회 근간을 뒤흔드는 여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바탕에도 '효'가 있다는 설명이다. 효를 기반으로 인성을 닦아야, 진정한 '선'을 실현할 수 있고 우리 정신의 뿌리인 전통의 명맥도 살릴 수 있다는 게 소 회장의 지론이다.
"효 인성의 토대가 무너지면 사회가 각박해지고 각종 악이 생겨나죠. 자기를 낳아준 부모를 소홀히 여기는 사람이 그 어떤 일을 할 수 있겠습니까. 저를 비롯한 전국의 효지도사들은 교육을 통해 이 같은 가치를 몸소 체험하고 가치관을 정립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실천이겠죠."
소 회장은 남원 보절면 출신으로 전주영생고를 졸업하고, 고향에 학생들을 위한 독서실을 만드는 등 청소년 운동을 전개해왔다. 이후 많은 사회단체를 거쳐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에 힘쓰다가 전주에 정착했고, 2000년대 전북노인복지효문화연구원 설립과 함께 노인복지와 효문화 발전을 위해 열정을 집중하고 있다. 이 같은 공로가 인정돼 소 회장은 지난 2019년 전주시민의장 공익장, 2020년 전라북도아름다운도민대상 나눔 부문, 2022년 대통령포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