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독립유공자 1122명, 독립운동 현충시설은 107곳. 인구 대비 높은 비율
전북지역 가치있는 근대 역사 많음에도 총 망라하는 시설 부재
전북지역도 경북독립운동기념관 같은 동학, 구한말 의병, 독립운동, 수탈 등 근대 역사 종합 시설 마련돼야
이강안 광복회 전북지부장 “체험을 할 수 있거나 교육, 숙박 시설 등을 갖춰 대한민국 자주 정신의 본산인 전북 기려야”
전북지역은 예로부터 동학과 의병, 수많은 독립유공자, 일제의 수탈현장까지 민족의 자주정신과 아픔이 혼재돼 있는 곳이다.
그로인해 전북에는 적지 않은 수의 현충 시설이 산재해 있지만 그 수만 많을 뿐, 타 지역에 비해 이를 집약하거나 관리·계승하는 통합 시설이 없는 실정으로 통합기관 설립 등 국가나 지자체 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3일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유공자 공적정보에 따르면 전국 독립유공자 1만 7748명 중 전북지역 독립유공자는 1122명이다.
이같은 전북지역 독립유공자 수는 1944년 기준 전국 지역별 인구수 대비 전국에서 충남(0.1%)과 경북(0.094%), 평북(0.072%)에 이어 4번째(0.066%)로 높았다. 그 뒤로 서울·경기(0.063%)와 경남(0.059%), 충북(0.058%), 전남과 평남(0.053%), 함북(0.048%), 함남(0.041%). 황해(0.4%), 강원(0.034%) 순이었다.
당시 전북의 인구수는 167만 명으로 충북 98만, 함북 112만에 이어 세번째로 적었다. 인구수가 적은 지역임에도 인구수 대비 많은 독립유공자가 나온 지역이 전북이었다.
실제 전북지역은 외세 침탈에 맞선 동학도들과 수많은 호남의병의 활동지였으며, 한강 이남 최초로 3.1운동 직후 만세운동이 일어난 지역이었다.
또한 호남평야를 끼고 있는 지역 특성상 일제의 수탈이 집중돼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기도 했다.
수많은 ‘의’를 불태운 순국선열들의 고장인 만큼 전북지역 독립운동 현충 시설 및 문화유적지 또한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
독립운동 현충 시설만 보더라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국가보훈부 현충시설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전국 독립운동 현충시설은 983곳으로 이중 전북지역에만 107곳(10.88%)이 설치돼 있다.
현충 시설을 비롯한 문화유적지 관리는 잘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도민이나 전북을 찾는 타 지역민들은 역사를 제대로 알기 힘들다.
현충 시설 107곳이 전북지역 곳곳에 산재해 있고, 이를 전문적으로 집약해 교육하고 알릴 수 있는 공간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이강안 광복회 전북지부장은 전북지역의 자랑스럽고 아픈 근대 역사를 집약할 수 있는 종합 교육 시설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반면 경북은 이미 2015년부터 도립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을 운영 중이며, 경북지역 독립운동 전반을 망라한 다양한 전시 관람 및 교육문화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또 연수원 운영을 통해 보훈 캠프와 경북 각 지역 현충 시설 탐방 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기도 하다.
이 지부장은 “구한말부터 의병, 3.1운동, 의열 활동 및 학생운동, 일제강점기 당시 수탈까지 전북지역 역사를 종합해 기념하고 전시하는 시설이 필요하다”며 “더불어 이를 체험하고 교육할 수 있는 시설도 마련해 대한민국 자주정신의 본산인 전북지역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계속해서 기리고 이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광복 78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우리 지역이 산업화에 밀려 경제적으로 뒤쳐져 있을지언정 전북의 얼과 정신만큼은 이어나가 새로운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