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진공용 교수(폐암검진 질관리센터장)와 채금주 교수(영상의학과)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간질성 폐 이상을 진단할 수 있는 연구 성과를 발표해 관심을 받고 있다.
12일 전북대에 따르면 이번 연구 성과는 래디올로지(Radiology)에 ‘Interstitial Lung Abnormalities at CT in the Korean National Lung Cancer Screening Program: Prevalence and Deep Learning-based Texture Analysis’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됐다.
래디올로지는 미국영상의학회(RSNA)가 발간하는 SCI급 국제학술지로 글로벌 논문 피인용지수(Impact Factor)가 19.7에 이르는 영상의학 분야 최고 권위 저널이다.
간질성 폐 이상은 흡연자에서 폐암 검진을 위해서 촬영하는 저선량 흉부 CT에서 우연히 발견되며, 섬유성 폐 이상으로 진단되는 경우 심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특발성 간질성 폐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흡연자에서 간질성 폐이상의 진단이 늦어지면 진행성 폐기능 감소와 호흡 부전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연관이 있어서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위해 연구진은 전북대병원과 울산대병원에서 국가 폐암 검진을 시행한 3118명 흡연자의 저선량 흉부 CT를 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보다는 적지만 4%에서 간질성 폐 이상이 있었고, 이 중 섬유성 간질성 폐 이상이 있는 경우 추적검사 CT상 24%에서 진행이 되었음을 보고했다.
한편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진공용 교수는 2019년 폐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한 이후 다양한 흉부 질환 진단용 인공지능 개발과 수 편의 인공지능 개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