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온난화로 사과 재배가능지 상향, 30년새 대구경북 44% 감소
여건에 따라 강원도 홍천에 ‘컬러플’·대구 ‘골든볼’ 생산단지 구축키로
특작과학원 “장수 홍로가 성공사례, 기후대비해 사과 수확량 유지해야”
기후 온난화로 사과 재배지역이 조금씩 이동함에 따라 지역별 맞춤 사과품종이 보급·육성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 따르면 올해부터 강원도 홍천에 ‘컬러플’ 생산 단지를, 대구 군위에 ‘골든볼’ 생산 전문 단지를 조성한다.
기후 환경과 농업 여건 변화에 따라 지역별로 안정적인 사과 생산 기반을 갖추기 위해서다.
통계청의 '지역별 사과 재배 면적' 분석 결과, 사과 주요 생산지로 통하던 대구·경북지역의 재배 면적은 30년새 44% 줄어들었다. 반면 같은 기간 강원도의 사과 재배 면적은 247% 늘어났다.
이에 강원도 홍천에는 우리나라 사과품종 ‘컬러플’(2019년 품종등록)을 보급한다. 수확기가 10월 상·중순(중만생종)으로 당도 15.2브릭스, 산도 0.55%로 새콤달콤한 맛이 으뜸이다.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에 강하고 이름처럼 껍질이 붉고 표면이 매끈하면서 모양이 예쁘다.
홍천군은 밤낮 일교차가 커 수확기가 늦은 ‘컬러플’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두루 갖췄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4월 ‘컬러플’ 묘목 4300그루를 확보해 심었고 2024년까지 총 3ha 면적에 8000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대구 군위에 보급하는 우리 사과 ‘골든볼’(2021년 품종 등록)은 8월에 수확하는 노란 여름 사과로 껍질을 빨갛게 물들이는 색들임(착색)이 필요 없어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품종이다. 당도 14.8브릭스, 산도 0.51%로 한여름 사과로는 드물게 단맛과 신맛이 조화롭다.
군위군은 위도가 낮은 지역으로 과일 색들임 면에서 다른 지역보다 경쟁력이 약한 상황이어서 ‘골든볼’ 재배에 꼭 맞는 지역으로 판단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5월 군위와 생산단지 조성 협의를 마쳤고, 내년 묘목을 생산해 2025년 5ha 면적에 시범사업으로 묘목 1만 5000그루를 보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들 품종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컬러플’은 농산물 전문 유통업체(㈜네오게임즈), ‘골든볼’은 대구경북능금농협을 통해 재배 물량을 유통할 계획이다.
김명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은 "기존에 조성한 단지 중 장수에서 수확기가 빠른 품종인 ‘홍로’가 2000년대 초반 조성 당시의 명성을 이어가면서 600헥타르 면적에서 재배되고 있다"며, “사과는 우리나라 과일 재배 농가의 16.8%를 차지하고 재배 면적도 가장 넓은 작목이지만, 현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하면 2100년에는 강원도 일부에서만 재배될 것으로 예측돼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