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7:2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치일반
자체기사

‘잼버리·새만금·총선’ 한숨만···전북 ‘위기를 기회로’

잼버리 파행, 새만금 예산 및 사업 사실상 스톱
총선 6개월 앞두고 현직 국회의원들 전전긍긍
국감·예산국회 결과따라 전북 정치권 내년 총선 심판 불가피

image

한가위를 맞은 도민들은 풍요로운 전북을 꿈꿨지만 실상은 막막하기만 하다. 정부와 여당이 세계잼버리 파행의 원인을 전북으로 돌렸고, 이에 대한 보복성 새만금 사업 중단이 이뤄지면서 도민들의 분노와 아우성이 커지고 있다. 올 추석 밥상 위 화두는 잼버리와 새만금, 그리고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내년 4.10 총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1일부터 12일까지 새만금에서 개최된 세계잼버리대회. 대회기간 내내 내리쬔 폭염, 모기 등 곤충의 공격, 그늘막 부족 및 지저분한 화장실, 대회 후반에 찾아온 태풍. 세계잼버리는 총체적 난국이란 오명 아래 개최 도시를 떠나 타 도시에서 분산된 대회를 치렀다. 그러나 정작 대회 내내 폭염속에서도 청소년들의 웃음은 끊이지 않았다. 각국 스카우트 대원 친구들과 함께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고 기타를 쳤다. 전북 곳곳의 도시를 돌며, 각종 체험활동을 벌였다.

힘든 여건 속에서 피어난 청소년들의 밝은 웃음과 달리 어른들과 정치권, 그리고 정부의 대회를 바라보는 시각은 달랐다. 폭염속에서 청소년들의 생존권이 촌각을 다투듯 위협받을 것이란 판단에 대회 일정을 전면 수정했다. 잼버리가 끝난 뒤 정부와 여당, 그리고 보수 중앙언론들은 일제히 전북 책임론을 들며, 전북을 물어뜯었다.

정부는 새만금 SOC 예산을 대폭 삭감했고, 급기야는 새만금 SOC에 대한 적정성 재검토에 들어갔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새만금 기본계획(MP) 전면 변경에 나서는 등 사실상 새만금 사업을 올스톱 시켰다. 지난 34년간 지지부진하게 진행돼온 새만금 사업 추진이 전면 중단됐다. 전북의 날개가 될 것으로 보였던 새만금 공항 건설마저 위기를 맞았다.

도민들은 분노했다. 도민과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정치권은 총궐기해 새만금 예산 복원을 위한 범도민 투쟁을 시작했다. 하지만 정부는 전북인의 성난 목소리에 아랑곳 하지 않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새만금은 대한민국의 미래로 임기 내 개발을 최대한 빠르게 진행시키겠다"는 공약을 슬그머니 뒷전으로 밀어냈다. 전북이 정부로부터 버림받고 무시당했다는 도민들의 원망과 분노가 쌓였다.

이런 가운데 도민들은 정부로부터 무시받는 전북이 된데 대한 책임을 묻기 시작했다. 책임의 화살은 무능한 전북 정치권으로 돌아갔고, 내년 4.10 총선에서 전북 현역 국회의원들에 대한 책임을 묻자는 심판론이 커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전북 일부 국회의원은 새만금에 관심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지역구 행사 챙기기에 급급하고, 당대표 사법처리 사태에 불같이 나서는 등 전북 발전엔 아랑곳없이 공천권만 쫓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앙무대에 나가 전북을 대변하는 호통을 칠 국회의원 한 명 없는 전북 정치권의 모습에 도민들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잼버리 파행과 새만금 예산 삭감, 새만금 사업 전면 재검토 등을 바라보며 전북인의 자긍심은 상처를 입었고 전북의 자존감은 낮아지고 있다. 도세는 어느새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 꼴찌인 상황이다. 

전북 낙후 원인의 모든 책임을 정치권에 전가할 순 없지만 정치권의 무기력과 무능이 한 몫 한 것이 사실이다. 중앙정치무대에서 국회의원들이 제 역할을 못해 전북의 존재감은 더욱 작아지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 지역발전을 견인할 좋은 인물을 뽑아 위기의 전북을 기회의 전북으로 만드는데 목소리를 높이도록 회초리를 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잼버리 새만금 총선 #전북 위기를 기회로
이강모 kangmo@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