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영장 기각 후 체포동의안 가결 의원들 처리 골몰
총선 코 앞. 내부 분열보다는 의기투합 해 결집해야 목소리
반면 극성 당원들, 가결파 의원들 숙청 목소리 커져
이재명 대표의 구속영장 기각으로 사법리스크를 최소화 한 더불어민주당이 또 다시 고심에 빠졌다. 구속영장 실질심사에 앞서 국회에서 이뤄진 체포동의안 가결 후폭풍에 따른 것이다.
가결표를 던진 것으로 의심받는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의 이름들이 SNS에 무분별하게 유포됐고, 또 극성 당원층에서 이들을 색출해 숙청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그러나 무기명 투표였기 때문에 본인이 가결을 표결했다고 밝히지 않는 한 가결파를 밝혀낼 수 없고, 이러한 내부 분열은 6개월 남은 총선과 오는 11일 치러질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커 민주당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문에 민주당은 연휴 내내 뒤숭숭한 휴일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대표는 ‘색출이냐’, ‘포용이냐’를 놓고 장고를 거듭하는 모양새다.
친명계는 가결표를 던진 의원들에 대한 징계를 주장하는 반면, 비명계와 당내 온건파는 이 대표에게 중도층 전략 차원에서 포용의 리더십을 주문하고 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 발언을 통해 “제 나라 국민이 제 나라를 팔아먹었듯이 같은 당 국회의원들이 자기 당 대표를 팔아먹었다. 상응한 조치를 취하겠다”면서 “검찰과 한통속이 돼 이재명 구속을 열망했던 민주당 가결파 의원들은 참회하고 속죄해야 한다. 통렬한 반성과 사과를 요구하고 반드시 ‘외상값’은 계산해야 할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반면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불교방송(BBS)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반명 의원들을 색출해서 징계한다는 것은 지양돼야 한다”며 “이재명 대표는 통합의 정치로 당을 단결시키고 강한 민주당을 만들어 윤석열 폭정과 투쟁하는 그런 민주당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비명계인 설훈 의원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했고, 이원욱 의원은 “동의안을 가결한 의원들 덕분에 민주당은 방탄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며 가결의 명분을 주장했다.
이와 관련 이재명 대표는 “하나된 그 힘으로 어떤 고난도 극복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며, 색출론과 관련한 판단은 내리지 않고 있다.
전북지역에서도 가결표에 합류했을 것이라는 소수 의원들의 명단이 오르내리고 있다. 당사자들은 ‘사실이 아닌 거짓’을 주장하고 있지만 이미 팬덤층 사이에서는 이들에 대한 맹공을 쏟아내고 있다.
전북지역 한 국회의원은 “이번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와 관련 이름이 오르내린 관련자들을 모두 색출해내기는 힘들어 보이지만 일부 대표적 인물들에 대한 징계는 가능하지 않겠냐”면서도 “내가 알기로는 전북지역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단 한 사람도 가결에 표를 찍은 사람은 없는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