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밀가루 20% 가루쌀로 대체한 라면 가공적성 검토
생산 적용 시 연간 7.7만톤 밀가루 대체 효과 기대
대표적인 밀가루 소비식품인 라면에 가루쌀을 혼합했을 때 일반 라면과 품질면에서 비슷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은 17일 라면에 가루쌀(‘바로미2’)을 혼합했을 때 일반 라면과 품질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혼합 비율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세종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이수용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가루쌀 혼합 비율에 따른 라면 가공적성 연구’에서 밀가루 사용량의 20% 이내를 가루쌀로 대체해도 품질면에서는 비슷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진에 따르면 라면을 만들 때 가루쌀 비율이 높으면 글루텐 함량이 적어져 면을 형성하는 구조가 약해진다. 조리했을 때도 전분이 많이 녹아 나와 국물이 탁해지고 면대가 쉽게 끊기는 현상이 나타난다.
연구 결과 가루쌀 비율을 30% 이내로 혼합했을 때 라면 제조 특성과 품질특성이 양호했다. 특히 20% 이하 비율에서는 반죽의 물성과 조리 및 관능적 특성이 전량 밀가루로 만든 라면과 비슷했다.
현재 연간 국내 밀가루 사용량은 147만 6000톤이고, 이중 라면에 사용되는 양은 38만 5000톤(약 26%)인 것으로 추정된다. 라면에 사용되는 밀가루의 20%를 가루쌀로 바꾸면 연간 7.7만 톤의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다.
이수용 세종대 교수는 “연구에서는 기본 재료만을 이용해 가루쌀라면을 만들었다. 라면 제조업체들이 가진 기술과 비법을 적용한다면 더 우수한 품질의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