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이후 한 유가족의 70여 일간의 삼보일배 그린 이야기
고 작가의 날카로운 풍자, 유쾌한 상상력으로 채워져
“이들의 논리에는 희생자가 없어요. 희생자가 없으니 당연히 가해자도 없겠죠. 그게 부조리 참사의 핵심 아니겠어요?” (소설 ‘엄마가 말할게’ 본문 중)
이태원 참사 이후 한 유가족의 70여 일간의 삼보일배를 그린 이야기, 고길섶 작가가 장편소설<엄마가 말할게>(섶나무)를 발간했다.
책은 지난해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지에 대한 고 작가의 날카로운 풍자와 유쾌한 상상력으로 채워졌다.
실제 책에서는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선택과 그 결과가 끼치는 삶의 참담함에 대해 질문하며, 슬픔과 기억의 차원을 넘어 우리가 역사적, 현실적으로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선택하며 그 결과로써 우리의 삶은 어떤 방향으로 결정되는지, 중층적인 실존의 문제를 제기한다. 동시에 등장인물들이 갈등하는 실존적 현실은 생애사적으로 경험해 온 역사적 굴곡의 삶 및 감정구조와 유관함을 보여준다.
또 꿈과 혼령들과의 대화 등 동물 공화국 우화라는 복합형식을 통해 현실과 악몽, 이승과 저승, 인간사회와 동물 세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고 작가의 상상력을 엿볼 수 있다.
고 작가는 “이태원 참사 사건의 복잡계 스토리를 상상하다 ‘모든 사건은 결코 사건 자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며 “그렇게 작품의 안과 밖,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이태원 골목길 참사의 복잡계 스토리를 추적했고 작가와 독자와의 긴장된 시선으로 재창작 해봤다”고 말했다.
한편 부안 출생인 작가는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을 공부했으며 문화비평 및 지역문화 활동을 이어왔다. 그의 저서로는 <문화비평과 미시정치>, <어느 소수자의 자유>, <스물한 통의 역사진정서>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