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지난해 12월 전국 제1호 개청…1주년 맞아 성과 공유회 개최
누적 이용 인원 1만 9000명, 다양한 청년 시책 추진하며 지원군 역할
지난해 말 전국 최초로 문을 연 익산 청년시청이 청년 소통·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산시는 9일 청년시청 개청 1주년을 맞아 성과 공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진행된 성과 발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청년시청을 찾은 이들은 청숲 1만 400명, 프로그램실 5520명, 커뮤니티실 1326명, 베이커리 공방 212명, 다이로움 오락실 543명 등 누적 이용 인원이 약 1만 9000명에 달한다.
또 토익 스피킹, 공무원 면접 대비반, 이모티콘 작가 되기, 취업 스터디 공기업반 등 청년시청에서 운영한 청년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 15개 강좌에 439명이 참여했다.
이외에 데일리 메이크업, 베트남어 배우기, 목공예, 디저트학과 등 장·단기 문화 프로그램이 운영돼 문화학교 8개 강좌에 75명, 청년학교 51개 강좌에 488명, 청년 샘스쿨 10개 강좌에 81명의 청년이 수강하며 저마다의 역량을 키웠다.
다양한 형태의 지원 사업에 따른 성과도 눈에 띄었다.
고용노동부 공모에 선정돼 진행된 청년 도전 지원 사업에서는 취업 촉진 맞춤형 프로그램 수료생 58명 중 16명이 취업하고 1명이 창업하는 성과를 거뒀다.
지방 소멸 대응기금을 활용해 스타트업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는 익산형 MVP 지원 사업에서는 31팀 중 20팀이 선정됐고, 민관 협력 위드로컬 청년 창업 지원 사업에서는 99팀 중 20팀이 선정됐다.
또 지역 자원을 활용한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익산형 로컬 크리에이터 지원 사업은 접수된 70팀 중 30팀이 지원 혜택을 받았다.
이날 행사에서는 이 같은 성과 공유와 함께 청년 창업 드림카 지원, 청년 (예비)창업자 인프라 구축 지원, 청년 기업 안정화 임대료 지원, 청년 기업 홍보비 지원 등 현재 시가 추진 중인 청년 지원 시책이 소개됐다.
또 청년시청 창업보육실 입주기업 청년 및 지원 사업 수혜기업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년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간담회도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참여자들은 청년 창업가들이 겪는 어려움을 공유하면서 개선점을 논의하고, 상호 소통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협업 기회를 모색했다.
이밖에 청년 창업가들 간 네트워킹과 레크리에이션 등 교류의 시간도 가졌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익산 청년시청 개청 1주년을 축하하는 특별한 순간에 함께해 준 청년들에게 감사하다”며 “청년 창업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익산 청년시청과 함께 지속적인 협력과 지원을 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