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는 즐겁고, 책을 읽는 일이 행복한 세상이 언젠가는 도래하리라는 터무니없는 믿음!
어쩌면 그런 게 이 세상 모든 글쟁이들의 마음속 깊은 곳에 도사리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며, 이번 전북일보 신춘문에 응모한 소설들을 살펴보았다.
그런 믿음이 아니라면 글쓰기의 과정 속에 통과해야 하는 고통스러운 모색과 끝도 없이 무한반복되는 되새김의 시간을 어떻게 견디겠는가.
어떨 때는 풍자나 은유, 어떨 때는 깊은 침잠을 통해 길어 올린 잠언적 성찰... 작가들은 제각각 고통과 희망 사이의 팽팽한 긴장을 견뎌내며 자신만의 글쓰기 방식을 구축해 나간다.
이번 심사에서 가장 주목한 것은 응모자들이 자신이 펼쳐놓은 작품 세계 속에서 충돌하는 긴장과 갈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그리고 그 과정을 통과해 도달한 지점에는 어떤 미감이나 어떤 메시지가 존재하는가였다.
150여 편의 응모작 가운데 최종적으로 3편의 작품을 검토했다.
먼저, “초상화와 사진관”은 검정 색조를 적절히 상징처럼 사용하며 시의성 있는 소재를 다뤘으나, 플롯의 흐름을 문장이 뒷받침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문장은 뜻을 담는 그릇이다. 조금 더 넉넉하게 키우길 바란다.
“박쥐와 거미”는 무척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박진감 있게 끌고 간 것이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결말부로 갈수록 앞에서 제시된 호기심을 제대로 충족시켜주지 못했다. 글쓰기란 어쩌면 자문자답하는 것이지만, 그 과정에서 독자의 동감을 설득하는 과정을 동반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우리 심사위원은 한 마음으로 “미지의 여행”을 당선작으로 결정했다.
이 작품은 그간의 소설작법에 비추어 보면 출발점이 불친절한 편이며 듬성듬성 무언가를 빠트리고 있는게 보여 처음엔 아슬아슬했다. 하지만, 이게 작가의 의도라는 것을 깨닫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그리고, 그 빈틈이 메워지면서 작품의 골조가 세워지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도, 읽는 즐거움을 안겨줬다. 그리고, 이 작품의 말미에 이르면 이 작가가 도달한 어떤 깨달음이나 발견이 우리들에게 깊은 울림을 안겨줬다.
신문을 배달하다가 수금을 하며 사람을 만나고, 만남을 통해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을 얻는 과정이 잔잔하게 그려진다. 그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독자 또한 차츰 깨닫는 게 있다. 우리가 얼마나 많이 관습적 사고를 하는지, 이야기의 영역은 새로운 사고와 도전에 의해 얼마든지 넓혀질 수 있다는 것을!
미덥고 기쁘다. 축하보다 정진을 당부한다. 이제 정말 더 길고 긴 문학의 미로 속으로 걸어가야 한다. 길을 찾으려는 열망이 끝내 길을 찾게 해준다. / 심사위원 송하춘 소설가, 김병용 소설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