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가 신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지방소멸은 새로 출범하는 전북특별자치도의 최대 과제로 꼽혔다.
전북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간 전북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전북 인구소멸 위기’에 대해 응답자의 94%는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전북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응답자의 76%가 ‘열악한 산업 구조로 인한 양질의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전북도의 인구 정책에 대해서는 ‘못한다’는 부정 평가가 76%, ‘잘한다’는 긍정 평가가 17%를 차지했다.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는 ‘청년 일자리 창출’이 38%로 가장 많았고, ‘공공기관 이전 및 기업 유치’가 24%로 그다음으로 높았다. 공공기관 이전과 기업 유치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응답자의 60% 이상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원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이 지방소멸을 막을 긍정 요인이라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는 긍정 평가가 41%를 차지했다.
민선 8기 전북도정의 최우선 정책분야로는 전체 응답자의 47%가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새만금 개발 정책’은 14%, ‘보건·공공의료 등 복지 정책’ 10%, ‘교육·보육 정책’과 ‘도내 균형발전 정책’이 7%로 뒤를 이었다.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등 미래 첨단 산업 정책’은 49%가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를 내놓았다. 연이은 이차전기 기업 유치가 전북에 희망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지역소멸 등 부정적 영향때문에 전북 현역 정치인에 대한 평가도 그리 좋지는 않았다.
오는 4월 22대 총선을 앞두고 ‘지역구 국회의원을 다른 인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61.0%가 ‘바꿀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잼버리 파행과 새만금 예산 대폭 삭감 등에 대한 전북 정치권의 대응이 도민들의 기대감을 채우지 못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 총선 지역구 국회의원에 투표할 정당 후보’를 묻는 설문에서는 민주당 후보를 지지한다는 답은 48.0%로 절반에 가까웠지만 38.0%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총선을 100여 일 앞둔 시점에서 아직도 지지할 정당을 못찾았다는 점은 향후 전북 총선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 간 실시했다. 여론조사 표본은 2023년 11월 기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라 지역별, 성별, 연령별 인구 구성비에 맞게 무작위로 추출했다. 표집틀은 통신 3사에서 제공된 휴대전화 가상(안심) 번호를 활용했다. 조사는 면접원에 의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 오차는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다. 응답률은 17.1%로 총 5855명과 통화해 그 중 1000명이 응답을 완료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