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전북형 늘봄학교’가 오는 3월부터 본격 운영된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늘봄학교는 초등학교 정규수업 외에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해 학생 성장을 돕는 종합 교육프로그램이다. 늘봄학교가 도입되면 기존 초등학교 방과후와 돌봄은 하나의 체제로 통합된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전북형 늘봄학교'의 특징은 학교밖 기관에 대한 적극 활용과 교육지원청의 늘봄지원센터 역할 강화이다.
전북자치도교육청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이 겪는 돌봄의 어려움과 사교육비 부담 해소 등을 위해 1학기 75개교를 시작으로 2학기에는 도내 모든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올 1학기에는 학교 규모나 인력 배치 현황 등을 고려해 유형별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집중 지원을 통해 2학기 전체 학교로 확산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초등학교 1학년 성장 단계와 학부모 수요 등을 고려해 재미있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연중 매일 2시간 이내로 무료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1학년생들이 학교 생활에 빨리 적응하고, 놀이 중심 예·체능 활동 등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늘봄학교 운영은 학교 밖 기관까지 확대한다. 학교 안에서는 최대 오후 6시까지, 이후 발생하는 수요는 오후 8시까지 학교 밖에서 운영한다.
특히 교사의 늘봄학교 행정업무 부담 해소를 위해 교육지원청 늘봄지원센터 지원 역할도 강화한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늘봄학교의 가장 큰 난관은 인력과 공간 확보다. 당장 새학기부터 늘봄학교가 실효성 있게 운영되려면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제대로 된 공간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정 부담 문제, 교원단체와 공무원단체 반발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않다.
늘봄학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도교육청은 1학기에는 기간제교원과 자원봉사자 등을 학교에 배치할 계획이다. 1학기에는 과도기적으로 기간제 교원과 자원봉사자 등을 학교에 배치해 늘봄학교 신규 업무가 기존 교사 업무에 더해지지 않도록 한다. 2학기에는 늘봄실무직원이 학교에 배치돼 기존에 교사가 맡았던 방과후 업무를 포함한 늘봄학교 관련 업무를 전담할 계획이다.
현재 늘봄학교 운영을 위해 자체예산 32억 원과 특교금 94억 원 등 총 130억 원 가량을 확보했으며 오는 5월 추경편성을 통해 특교금 50억 원을 마련해 재정 부담을 해소할 예정이다.
또 공간시설 부족 문제는 겸용교실 및 방과후 미래교실 등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서거석 교육감은 “학생과 학부모 수요, 학교 여건 등을 고려해 학교 안팎에서 다양한 늘봄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지자체는 물론 지역별 돌봄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연대해 학생과 학부모, 학교 모두가 만족하는 전북형 늘봄학교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