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을 찾는 외지 관광객 뿐 아니라 외국인들도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한옥마을에 대한 예찬을 끊임없이 쏟아냅니다. 우리가 현대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없는 해가 뜨고 지고, 계절이 바뀌는 현상을 고스란히 느끼며 그동안 갖지 못했던 여유로운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가진 것의 일부를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남에게 나눠주거나 남을 위해 봉사하고 우리의 주변 환경을 우리 몸 못지않게 아끼고 가꾸는 일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힘든 일이다. 나를 돌보기 전에 남을 먼저 생각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이 차고 넘치지 않는 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주 한옥마을에서 10년 째 게스트 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는 조성남(55)대표는 남몰래 어려운 이웃을 위해 10년 이상 꾸준한 기부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옥마을을 아름답고 깨끗하게 가꾸기 위한 활동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특히 게스트 하우스를 방문하는 고객들에게 한옥마을 곳곳에 얽힌 스토리텔링과 함께 천년고도 전주가 옛 후백제의 수도였으며 오목대와 전동성당, 천년사찰 금산사 등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고 아름다운 주변 광광지에 대한 소개까지 구수한 입담에 섞어내면서 민간홍보 대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남원이 고향이지만 전주에서 40년 가까이 살다가다 보니 누구보다 전주에 대한 애착과 사랑이 크다는 조 대표는 평소 후한 인심으로 주변에서 '퍼쌔'(아낌없이 퍼준다)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주변에 베푸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는 성격이다 보니 전북 작은 자의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13년째 기부활동을 하고 있으며 봉사활동단체인 사랑의 울타리에서 총무를 맡기도 했다.
그의 이 같은 천성을 꼭 빼 닮아서인지 큰 아들 한광식(27)씨도 지역사회에 따뜻한 나눔을 실천하면서 운영하고 있는 빽다방 전주교대점이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지역사회보장 협의체로부터 착한가게로 선정되기도 했다.
조성남 대표는 "전주 한옥마을은 우리 지역에 내린 축복이며 영원히 우리가 아끼고 보전하며 가꿔나가야 할 유산이다“며 ”앞으로도 주변에 대한 봉사활동과 지역사랑 활동을 변함없이 할 생각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만 전주 한옥마을 상권이 지나치게 상업화되면서 문화의 본질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며 “우리가 가진 역사와 문화가 상업화로 퇴색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