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김제시 등 13개사 5000억 투자협약
전북특별자치도가 세제 혜택과 규제 특례를 이룰 수 있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시동을 걸고 기업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전북자치도청 회의실에서는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해 우범기 전주시장, 정성주 김제시장, 유경민 한국탄소산업진흥원 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투자 및 업무협약 체결이 이뤄졌다.
전북자치도는 지난 4일 산업부에서 고시한 기회발전특구 지정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시군 의견을 수렴해 바이오, 미래형모빌리티, 탄소융복합, 첨단물류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한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준비 중이다.
전주시는 탄소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탄소융복합산업 육성을 계획하고 있어 밥스, 알피티, 가야미, 티엠시, 하이즈복합재산업, 에코엔텍, 등 탄소 관련 6개 기업과 10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탄소섬유를 활용해 항공기 부품, 자동차 엔진용 부품 등을 생산하는 탄소 전방산업 기업으로 전주 탄소소재 생산 기업인 효성첨단소재와 함께 탄소산업의 가치사슬체계(밸류체인)를 구축하게 될 예정이다.
김제시는 지평선2산업단지와 백구일반산업단지를 미래형 모빌리티 산업의 메카로 조성하기 위해 자동차 부품, 특장차 등의 기업 유치에 나섰다.
이번 협약에서 대승, 일강, 대승정밀, HRE&I, 미래클, 창림모아츠, 에이엠특장 등 7개 중견 중소기업이 참여해 4000억원의 투자를 약속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통해 기업과 전북자치도가 서로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입주기업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통해 탄소국가산단을 중심으로 탄소융복합산업이 활성화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김제가 기회발전 특구 지정을 통해 모빌리티산업 투자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