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형철 시인 세번째 시집 '그날 밤 물병자리' 펴내
주변 일상과 이웃에 대한 연민으로 간절하고 뜨겁게 시 써내려가
이번 시집에는 언어적 생동감과 실물감 담은 56편의 시 수록
1999년 전북일보 신춘 문예로 등단한 황형철 시인이 세 번째 시집 <그날 밤 물병자리>(시인의일요일)를 펴냈다.
지난 25년간 서정의 물길을 헤쳐 온 황형철 시인은 주변의 일상과 이웃에 대한 연민으로 간절하고 뜨겁게 시를 써 내려간 인물.
시인은 이번 시집에 차분하고도 정제된 목소리로 세련되고도 살가운 언어적 생동감과 실물감을 담은 56편의 시를 수록해 삶의 흔적들을 섬세한 시선과 언어로 발화해 낸다.
“마땅히 삼을 만한 명칭이 없어 사방에 밭뿐이니/그냥 권상철 집 앞//아픈 아내에게 선물한 세상 유일무이/버스 정류장//종로에 송해길 진도에 송가인길/충무로 퇴계로 세종로 위인의 시호를 딴 길도 흔하지만/수억 원에 팔린 지하철 역명도 있지만//명치에 걸리는 게 많다 싶고/염소처럼 뿔나는 일이 많은 요즘인데/야단스러운 시간에서 옆으로 비켜나//권상철 집 앞에서/좀처럼 오지 않는 버스 기다리면/별이 앉고 동이 트고 멧새가 울고/열매에 뜨거운 빛이 들어//눈이 가 닿는 반경 모두가/부부의 해로여서//엔진보다 크게 뛰는 심장으로/후진도 우회도 없이/어디든 못 갈 데 없어//부르릉부르릉 꺼지지 않고/백년은 거뜬히 살 거 같아/제아무리 평판이 높은 누구보다도/아무렴 대단하고말고//울컥 복받치고 마는/백두대간로 어느 버스 정류장//(시 '권상철 집 앞' 전문)”
시인의 유연하고도 탄력 있는 사유와 감각은 어느새 인생론적 혜안으로 이어진다.
시 ‘권성철 집 앞’ 저류에는 밝고 투명한 비애와 희망이 균형감 있게 배치되어 있다.
그렇게 황형철의 시는 삶의 숱한 상처를 안은 채 살아가고 있거나 사라져 간 존재자들에 대한 애잔한 사랑과 관심에서 발원하여 사물이든 인물이나 풍경이든, 그들에게 가장 아름다운 자리를 마련해 주는 데 집중한다.
유성호 문학평론가는 황형철의 시 세계에 대해 “언제 한번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고 평한다. 그러면서 “그의 시는 한편으로 언어를 다스리고 한편으로 언어를 초월하려는 욕망을 보이는 것이 서정시의 고유한 권역인데, 황형철의 시는 삶에 대한 오랜 기억을 순간적 잔상으로 점화한다”며 “그 안에 상처와 예술이 맺는 유추적 연관성을 보여 주는 첨예한 양식으로 다가온다”고 해석했다.
황형철 시인은 1999년 전북일보 신춘 문예 시부문에 당선됐으며, 2006년 계간 <시평>으로 등단했다. 그는 시집 <바람의 겨를> <사이도 좋게 딱>을 펴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