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1:0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NIE
외부기고

[NIE] 모든 시민이 뉴스를 생산하는 시대

1. 주제 다가서기

뉴스는 새로운 소식을 전해주는 매체의 한 종류입니다. 일반적으로 TV를 통해 새로운 소식을 전해주는 영상매체를 의미하죠. 과거 뉴스는 뉴스를 제작하고 방송하는 방송국이나 기업의 전유물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은 디지털 영상기술과 매체의 발달로, 개인이 새로운 소식을 빠르게 알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대중화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모든 시민이 새로운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모든 시민이 뉴스를 생산하는 시대’라는 제목 하에, 뉴스의 구조, 뉴스의 기능, 뉴스의 생산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 용어 정의하기

뉴스 [News]

TV 뉴스는 그날 벌어진 사건이나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사건을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원칙에 따라 3분 내외로 보여 준다. 뉴스는 객관적인 사실의 전달에 주된 목적이 있으나 리포터나 아나운서의 주관적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 주제 알아보기

뉴스에 대해 알아보고, 뉴스를 제작할 수 있다.

 

2. 신문 읽기

<읽기자료 1>

- 뉴스의 내용 생성 단계 : 새로운 소식 접하기-

아래는 우리 나라의 근현대사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읽고 뉴스를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해 봅시다. 

▫ 역사의 현장5. 한국전쟁의 발발

image

한국전쟁의 발발

남북 분단은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기습적인 남한 침략으로 전쟁은 시작되었다.

- 한국전쟁의 진행 과정을 알아봅시다.

1950.6.25. 새벽 1950.9.15. 1951.1.4.

북한의 기습적인 남한 침략

3일 만에 서울을 빼앗기고

대구, 부산 지역을 제외한

전국을 빼앗김.

연합군 참전과 함께

인천상륙작전 성공!

3개월 만에 평양 점령

전쟁이 끝나는 듯 하였음.

중국 인민군의 참전으로 국군과 연합군은 일제히 후퇴

서울을 방어한 후 휴전선을 형성함. 

 

image

-오래된 신문 기사를 발견하였습니다. 훼손된 부분을 추리해보고 한국전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조사해봅시다. 

image
원인 결과

-남한을        하려는 북한의 야욕

-북한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국토의 1/3이 

-오백만이 넘는 

-민족에게 씻을 수 없는 

 

- 한국전쟁의 참상을 영상으로 시청하고 전쟁에 대한 나의 생각을 서술해 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ZszDweQUFql

전쟁 YES OR NO, 나의 선택은?

전쟁은 불가피하다.

그 이유는

 

---------------

 

---------------

 

---------------

image

전쟁은 절대 안 된다. 

그 이유는

 

---------------

 

---------------

 

---------------

WAR : 전쟁                                                                             PEACE : 평화

- 위의 자료를 보면서 ‘한국전쟁’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작성해 봅시다.

-

- ‘한국전쟁’에 대한 나의 생각을 작성해 봅시다.

-

<읽기자료2>

- 뉴스의 이해 단계 : 뉴스의 구조와 특성 알기-

▫ 뉴스의 구조에 대해 알아봅시다.

 ‘2021년 6월 24일 방송된 “다시 돌아가도 참전, 역사 기억해야” 6.25 관련 뉴스를 보며 뉴스의 구조에 대해 알아봅시다.

“다시 돌아가도 참전, 역사 기억해야”

인터넷에서 위의 뉴스를 검색하여 시청해봅시다.

뉴스 방송 장면

내용

뉴스의 내용을 정리해봅시다.
image
-뉴스의 시그널(signal)-

방송국 명, 뉴스 이름이 배경음악과 함께 나온다.

 
image
-아나운서의 오프닝(opening)-

뉴스 주제에 대해 소개한다.

 
image
-인터뷰1-

기자의 질문과 면담자의 

답변으로 이루어진다.

 
image
-시각자료-

주제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사진, 그래프, 표 등이 사용된다.

 
image
-인터뷰2-

기자의 질문과 면담자의 

답변으로 이루어진다.

 
image
-아나운서의 클로징(closing)-

뉴스 주제에 대한 데스크(desk)의 관점을 전달하며 마친다.

 

▫ 뉴스의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뉴스 “명령 없이 후퇴 안 해, 맥아더 울린 소년병”을 보며 뉴스의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인터넷 상에 아래의 뉴스를 검색해서 시청해봅시다.

“명령 없이 후퇴 안해, 맥아더 울린 소년병”

특징

뉴스를 평가해 봅시다.
시의성 시간적으로 얼마나 빠르게 보도되는 정보나 사건인가?  
예외성 날마다 반복되지 않는 예외적인 정보나 사건인가?  
근접성 시청자에게 지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얼마나 가까운 사건인가?  
영향성 사회적으로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정보나 사건인가?  
저명성 얼마나 유명하고 권위 있는 사람이나 대상인가?  

 

▫ 뉴스의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봅시다.

아래의 그림을 보며 뉴스의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봅시다.

image
구성 요소 프로젝트 과제
방송국 이름과 상징 방송국의 이름과 로고를 제작한다.
뉴스이름 눈에 잘 띄고 기억하기 쉬운 이름으로 한다.

상징적인 의미를 담아 만든다.

뉴스 제목

(헤드라인)

소개할 뉴스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제목을 선정한다. 
대표사진 소개할 뉴스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사진을 선정한다.

 

▫ 뉴스의 관점을 찾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아래의 뉴스를 보고 뉴스의 관점 찾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image

 상황 : 2021.3.1. 

전라북도 스포츠 클럽 축구 대회 결승전에서 대한초등학교 축구팀과 민국초등학교 축구팀이 맞붙었다.

팽팽한 승부 끝에 대한초등학교가 민국초등학교에게 1:0으로 승리하였다. 

image

 -뉴스 제목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 제목을 주의 깊게 살펴봅니다.

-관점이 드러난 표현을 찾아봅니다.

-누구의 입장에서 말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누구의 의견을 취재하였는지 살펴봅니다.

  대한초등학교 뉴스의 관점 민국초등학교 뉴스의 관점
뉴스 내용 대한초등학교 축구팀이 손에 땀을 쥐는 경기를 선보이며 민국초등학교 축구팀에 1대 0의 짜릿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현장에서 만나본 대한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정말 멋진 승부였다’며 우승을 자축하였습니다. 민국초등학교 축구팀이 대한초등학교 축구팀에 아깝게 1대 0으로 패하였습니다. 민국초등학교의 선수 김민국(13)군은 ‘최선을 다했지만 먼저 실점한 것이 아쉬웠다’며 함께 뛴 선수들을 격려하고 다음 대회를 더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뉴스 제목이

강조하고 있는 내용을 

잘 살펴봅시다.

   
관점이 드러난 표현을 찾아봅시다.    
누구의 입장에서 말하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누구의 의견을 취재하였는지 살펴봅시다.    
각 뉴스의 관점은?    

<읽기자료3> 

- 뉴스의 생산 단계 : 새로운 소식 전하기-

▫ 위의 역사적 사건 중 하나를 골라서 뉴스 제작 계획서를 작성하여 봅시다.

- 아래는 대한민국 수립 당시의 사진입니다. 어떤 장면인지 교과서를 찾아 알아본 뒤 뉴스 제목을 작성해 봅시다.

image
image
일본 항복!! 

갑판 위에서 천황이 항복문서에 서명하다.

 
image
image
   

뉴스 제작 계획서(1) - 사전 계획

image

뉴스 제작 계획서(2) - 뉴스의 구조

 

image

 

▫역사적 사건을 가상 뉴스 영상으로 제작하여 친구들 앞에서 발표해 봅시다.

<뉴스대본 제작 예시>

image

 ▫뉴스를 제작한 소감을 작성해봅시다. 

-

 

/전주한들초 최효성 교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생산 #기자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