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 첨단산업 일자리가 갖춰져야 청년층의 지역 유입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북의 경우 첨단산업 비중이 전국 최하위권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소득을 제공하는 좋은 일자리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31일 대한상공회의소 '청년층의 지역 전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21년 기준 전북의 총 사업체 가운데 첨단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3.4%로 강원(12.2%), 제주(12.4%) 다음으로 낮았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은 19.9%였다.
대한상의는 전국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5년간 청년층(20∼39세)의 지역 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국 총 사업체 중 첨단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10.7%에서 2021년 19.9%로 9.2%p 증가했다. 이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했다. 수도권의 첨단기업 비중은 2006년 12.7%에서 2021년 23.8%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은 9.0%에서 16.1%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첨단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총 사업체 가운데 첨단기업 비중이 1%p 늘면 지역 전입 인구 중 청년층 비중은 0.43%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통 편리성과 문화시설 등을 전국 평균 이상으로 갖춘 경우 그 효과는 추가로 0.15%p 증가했다.
이에 대한상의는 교통 접근성과 문화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정주 환경과 함께 양질의 일자리를 갖춰야 청년층의 비수도권 거주를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청년층의 지역 전입을 촉진하려면 첨단기업과 정주 환경을 동시에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청년층이 다니고 싶은 일터와 정주 환경을 수요자가 직접 꾸릴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은행 전북본부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 도내 청년(20∼34세) 순유출 규모는 22만 6000명으로 전체 순유출(24만 6572명)의 92.1%를 차지했다. 그 원인으로는 열악한 산업 구조로 인한 고용 문제가 지적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