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안성덕 시인의 '풍경']바보 산수(算數)

image
안성덕 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뒤적입니다. “어떤 사람이나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히 여기는 마음, 또는 그런 일”이 ‘사랑’이네요. 아주 먼 옛날 어쩌면 꿈결이었습니다. 젊은 아버지는 일곱 살 어린 나를 앉히고 가 갸 거 겨를,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이르고 일렀지요. 국민학교 입학을 앞둔 2월, 아직 농사철이 아니라지만 대처에 품을 팔아야 했던 아버지는 1+1은 2, 1+2는 3을 채 못 가르쳤지요.

 

첫사랑, 외사랑, 내리사랑……, 사랑은 모두 바보 셈이지요. 고꾸라진다는 걸 뻔히 알면서 기꺼이 두 눈이 멀고, 불에 덴 자국 평생 지워지지 않을 줄 알면서도 대답 없는 메아리에 목을 매지요. 깨진 독 막아줄 두꺼비도 없이 평생 물 길어다 붓는, 영영 빵점 셈을 하지요. 

 

한창인 나팔꽃을 따라가 보니 잎사귀가 하트네요. 1+1은 0, 1+2도 0, 사랑은 바보 산수라고 따따따 나발 부네요. 먼 옛날 젊은 아버지가 가르쳐 주시지 않은 건, 영 맞지 않는 셈이기 때문이었네요. 그래요, 사랑은 하나뿐인 제 심장을 꺼내주는 일이지요. 도르르 덩굴손 움켜쥐어 허공에 꽃 한 송이 피워내는 일이지요. “장년에 이를 때까지 사랑을 미뤄 온 사람은 비싼 이자를 지불해야만 한다”, 아테네 극작가 메난드로스의 말입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교육일반전북교육청, ‘깜깜이 5급 승진’ 의혹 해소 촉구

건설·부동산전북 상업용 부동산, 임대 정체에 수익률도 전국 하위권

경제김민호 엠에이치소프트 대표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경제일반국립식량과학원, 국가 연구실 허브‘로 지정

정치일반요람부터 무덤까지…전북형 복지·의료 혁신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