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6:2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문화마주보기
외부기고

친일파의 생존법

image
곽병창(극작가, 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저들의 생명력은 길다. 길고 집요하다. 그것이 그들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생존을 위해서는 물불을 안 가리고 시비, 선악의 구별도 내동댕이쳐버리는 본성, 그것이 뼈에 새겨져 있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외세가 나라를 침탈하는 난세의 국면에서 사람들이 택할 수 있는 삶의 방식은 그다지 많지 않다. 무엇이 옳은지와 무엇이 살길인지를 궁리하는 일이다. 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둘 사이를 아슬아슬 오가며 생존을 이어간다. 하나의 인간으로서 그릇된 길로 빠지지 않으면서도 식구들의 목숨을 건사하는 일, 그것이 난세의 민중들이 그 험한 세월을 견디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오로지 옳은 길만을 바라보고 재산도 가족도 초개같이 버릴 각오를 한 이들은 끝내 저항하는 독립운동가가 되었을 것이고, 오로지 무엇이 살길인지, 어떻게 해야 난세의 혼란을 틈타 한밑천 두둑이 챙길지를 고민한 자들은 친일파가 되어 호의호식 살아남았다. 

동양적 사고의 중심에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일에는 네 가지 정도의 기준이 필요하다. 나보다 약한 존재들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부끄러움을 아는 일, 겸손하고 양보할 줄 아는 것, 그리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일 등이 그것이다. 친일파들의 사는 방식에는 그 어느 하나도 부합하지 않는다. 한 마디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 남을 짓밟고 대의명분을 어기면서까지 제 이익을 도모하는 일은 인간답지 못 한 일이요 나쁜 짓이다. 친일파의 뿌리는 바로 나쁜 인간이라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일의 길을 걸은 자들이 세상이 바로잡힌 뒤에 살아남는 길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최소한 자신의 무지와 잘못된 선택에 대해 부끄러워하며 깊이 은둔하는 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나라는 저들에게 그런 성찰의 기회마저 제공하지 않았다. 그 대신 저들의 재산과 알량한 경험을 새 나라를 세우는 근간으로 삼으며 저들을 지지하고 부추기는 길을 택했다. 약하고 가난하나 올곧게 산 이들에 대한 저들의 공포와 적개심을, 반공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여 왜곡된 이념전쟁의 논리로 삼았고 그로 인해 무수한 학살이 벌어졌다. 그것이 저들이 그토록 추앙해 마지않는 이승만 시대의 진면목이다. 

한동안 잠잠한 듯하던 친일파들이 다시 세상의 중심에서 분탕질을 일으키는 데에는 이전과는 다른 분명한 이유가 있다. 대다수의 기성 세대들이 분명히 정부수립일이라고 배우고 외웠던 1948년 8월 15일을, 그 시절의 언론이 이구동성으로 정부수립이라 쓰고 찬양하던 그 날을 두고, 건국절 운운하며 기를 쓰고 내세우려는 데에는 분명 새롭고 음험한 의도가 도사리고 있다. 그것은 뼛속까지 친일의 유전자를 이식받은 자들이 이 나라 권력의 중심에 선 것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식량 수탈과 병참기지화를 위해 건설한 철도며 공장을 두고 저들이 내린 시혜쯤으로 여겨야 한다고 믿는 자들이 이른바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이다. 그래서 식민 통치는 그 자체로 국제법상 정당한 것이었다며 진짜 독립투사들을 조롱하고 이승만을 건국의 아버지로 밀어 올리려는 것이다. 겉으로는 건국절 운운한 적 없다는 정부가 독립운동 단체들을 포함한 정부의 요직에 저들 이데올로그를 줄줄이 배치하고 있는 것은 장차 한일군사동맹까지를 염두에 둔 집요한 포석임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은인자중하다가 그럴듯한 이론을 들고 나와서 다시 발호하는 친일파들의 본모습을 들여다보는 일이 갈수록 쉽지 않다. 하지만 어떻게 치장을 해도 본질은 변하지 않는 법, 무엇보다도 저들의 뿌리가 참으로 나쁜 사람임을 다시 확인하고 알리는 일에 주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곽병창(극작가, 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곽병창 #친일파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