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출산제 시행 및 공적 입양 체계 개편에 발맞춰 보호 체계 강화
안전한 출산부터 건강한 양육, 든든한 사회 진출 지원 위해 역량 결집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익산시가 보다 안전하고 촘촘한 아동 보호 체계 구축에 나선다.
시 복지교육국은 13일 브리핑에서 지난 7월부터 시행 중인 ‘보호출산제’와 내년 7월 개편되는 ‘공적 입양 체계’에 따라 아동 보호 체계를 재정비한다고 밝혔다.
안전한 출산부터 건강한 양육, 든든한 사회 진출까지 한 아이가 성인으로 온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 차원의 역량을 결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7월부터 위기 임산부가 익명으로 병원에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보호출산제를 시행 중이다.
이에 발맞춰 시는 24시간 전문 익명 상담 서비스, 긴급 상황 방문 지원, 맞춤형 지원 연계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 기관들과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 보호출산 신청 아동이 태어나면 의료나 각종 사회 보장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비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부여를 통해 출생 신고를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 아동보호 전담 인력 2명을 추가로 확보해 공적 보호 체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7월 개편되는 공적 입양 체계에 대한 사전 준비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다.
보다 많은 가정이 입양과 위탁 보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홍보하고 있으며, 위탁 가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소통을 강화하고 도움이 필요한 위탁 가정에는 양육 코칭 프로그램을 연계할 수 있도록 수시로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보호 대상 아동의 안정적인 사회 진출도 돕는다.
위탁(입양) 가정에 인도된 아동과 보호 전담 요원을 1대1로 연계하고, 개별적인 아동 맞춤형 보호 관리 계획을 수립해 연간 4회 이상의 대면 점검을 실시한다.
또 대상 아동의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해 개인 진로·적성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디딤씨앗통장 후원자 발굴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또 자립 준비 청년이 사회에 진출할 경우 매월 30만 원씩 60개월 동안 익산사랑 자립정착금을 지급하고 주거 안정을 위한 살림 일체형 임대아파트 지원 서비스도 제공하며, 청년시청 취업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김영희 복지교육국장은 “보호출산제 시행과 입양 체계 개편에 따라 아동 공적 보호 체계를 새로 정비한다”면서 “보호 체계 안에 들어오는 모든 아동이 각 상황에 맞게 지원을 받으며 자라날 수 있도록 따뜻하고 책임감 있는 행정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