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6:4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자체기사

센터장 2년 가까이 공석...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방치 심각

전주푸드센터장·경영지원부장 수년째 공석
양영환 시의원 "대안 제시 후 변한 게 없다"
시, 조직 안정화 우선⋯상반기 센터장 채용

image
양영환 전주시의원

전주시 출연기관인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가 선장 없이 표류하고 있다. 조직 쇄신을 이끌 센터장 등 주요 직위자들의 공석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양영환(동서학, 서서학, 평화1‧2동) 전주시의원은 19일 제41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양 의원은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장은 2023년 3월 사퇴한 뒤 공석이고, 센터장을 대행할 전주시 파견 사무국장은 1년이 멀다 하고 교체되고 있다. 원활한 사업 지원을 해야 할 경영지원부장도 2022년 10월 이후 공석"이라고 밝혔다. 이어 "주요 직위자 공석으로 인해 발생한 인력 운영 문제는 대규모 퇴직으로 이어져 정원 57명의 조직이 현원 47명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전주시는 2023년 6월, 2024년 9월 센터장을 공개 모집했지만 적격자가 없다는 이유로 선발하지 않았다.

양 의원은 전주시의 조직 쇄신 의지를 질타하기도 했다.

그는 "전주시는 지난해 4월 출연기관 조직 효율화 용역을 통해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의 직매장 부문은 단계적으로 위탁·매각 또는 폐지하고, 공공(학교) 급식 부문은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대안 제시 후 1년이 다 되도록 변한 것이 없다"며 "지난 1년간 전주시는 전주푸드 원가 분석 용역,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직무 분석 용역 외에는 사실상 아무것도 한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에 따르면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출연금은 2021년 직매장 시설 확충 등으로 25억 원, 2022년 인력 증원 등으로 30억 원, 2023년 김치가공시설 사업비 등으로 33억 원이 지출됐다. 지난해부터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운영 방향 결정을 위해 실시한 용역비만 9000만 원에 이른다.

이와 관련 양 의원은 "전주시는 하루빨리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의 실행계획을 마련해 혈세가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푸드 원가 분석 용역 결과, 현재와 같은 전주푸드 매출 추세라면 5년 내 손익 구조 개선이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왔다"며 "농가 소득 창출, 지역 안전 먹거리 제공 등 전주푸드의 공익적 가치를 고려했을 때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조직 안정화가 우선이라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기간 공석인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장도 올해 상반기 안에는 채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시의회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