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 김주열 열사
많은 시민 참석해 숭고한 희생정신 기려
남원 출생으로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 김주열 열사의 추모 제향이 14일 남원시 금지면 김주열 열사 추모공원에서 거행됐다.
이날 추모식에는 최경식 남원시장과 시·도의원, 김주열 열사 기념사업회 회원, 관내 초·중·고등학교 학생 등 250여 명이 참석해 열사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렸다.
추모 행사는 제향을 시작으로 추모사, 추모 노래, 추모 시 낭독, 헌화, 음복 순으로 진행됐다.
참석한 이들은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열사의 헌신과 희생을 기억하며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되새겼다.
추모식에 참석한 성원고등학교 김형찬·정민수(17) 학생은 "김주열 열사님을 비롯한 많은 분들의 희생 덕분에 저희가 마음 편히 학업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런 자리에 참석할 수 있어 영광이다"고 말했다.
행사장 한편에는 김주열 열사의 학창 시절 모습과 가족사진을 비롯해 당시의 참혹한 시위 진압 과정, 열사의 시신 운구 장면 등 역사적 기록을 담은 사진 21장이 전시돼 있었다.
특히 4월 11일 마산 중앙부두 앞에 떠오른 열사의 처참한 모습과, 4월 13일 밤 경찰이 그의 시신을 탈취해 운구하는 장면을 담은 사진들은 추모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추모식에서 이영노 남원 김주열 열사 기념사업회 회장은 "김주열 열사께서 3·15 부정선거에 맞서 싸우다가 산화하신 지 65년이 됐다"며 "열사께서는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마산 시민·학생들과 함께 시위에 앞장섰고, 무차별적인 공권력의 총탄 앞에서도 당당하셨다"고 말했다.
자원봉사자로 추모식에 참석한 신진숙·신춘희(70·64) 씨는 "처음에는 봉사활동으로 이곳에 왔지만, 행사에 참여하면서 김주열 열사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게됐다”며 “오늘 새롭게 알게된 민주화 역사의 소중한 가치를 후손들에게 꼭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주열 열사는 고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1960년 3·15 부정선거로 국민들의 분노가 일어났던 시기, 마산 시위에 참여했다가 행방불명됐다.
이후 4월 11일 마산 중앙부두 앞에서 시신으로 발견됐고, 그의 희생은 4·19 혁명의 기폭제가 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