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진흥 위한 거점 수행 목적으로 1965년 개원한 전주문화원
지역문화진흥 역할 미흡하다는 비판 목소리 및 시민 참여 부족 우려 제기
현재 문화원 건물 노후화, 주차‧강습 공간 부족 문제
김진돈 원장 "문화재 조사, 발굴사업 등 1년 내내 진행" 공간 협소 공감
전주 지역 향토 문화 보존과 계승 등을 중심으로 각종 문화 사업을 펼치고 있는 전주문화원의 확장성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1965년 문을 연 전주문화원은 한때 전주의 문화 진흥을 위한 거점으로,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핵심 기관으로 꼽혔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민들의 관심에서도 멀어졌고,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역할이 미흡하다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매년 비슷한 프로그램이 반복되면서 시민들의 참여와 관심도 줄고 있어, 향토 문화와 현대 문화의 적절한 조화가 요구된다.
17일 전주문화원과 전주시 등에 따르면 지방문화원은 1994년 제정된 지방문화 진흥법에 따라 △지역문화의 계발‧보급‧전승 및 선양 △향토사 조사‧연구와 사료 수집‧보존 △지역문화 행사 개최 △문화에 관한 자료 수집‧보존 및 보급 △지역전통문화의 국내‧외 교류 등을 수행한다.
2011년에는 법이 개정되면서 문화의 개념을 확장해 지역성에 기반한 사업을 강조하고 있다. 단순히 유물이나 문화재 중심의 연구‧계승 뿐 아니라 지역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주민이 주체가 되는 문화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쳐나가야 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현재 전주문화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문화학교 △문화답사 △인문학 특강 △동향지 발간 △사료집 발간 △자료집 발간 등 6~7개에 불과하다. 이 중 지역성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사업은 전주의 역사와 문화‧예술 등에 대한 교육적 소양을 높이고자 마련한 ‘인문학 특강’에 그친다. 나머지 사업들은 다른 지역에서 치러져도 사실상 무리가 없는 프로그램들이다.
전주문화원에는 234명의 회원이 함께하고 있지만 고유한 색깔도, 새로운 콘텐츠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도내 한 원로 예술인은 “전주문화원은 60년대부터 80년대까지 지역의 중요한 문화 자원이자 시설이었다”면서도 “지금은 문화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문화원장이 누가 선출됐는지조차 모르는 상황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더욱이 2006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현재 문화원 건물(진북동 364-7)은 노후와 주차‧강습 공간 부족 등으로 각종 문화프로그램을 이용하려는 많은 시민을 불러오지도 못하는 지경이다.
원로 예술인은 “문화원은 지역사회의 취약한 문화예술 활동과 부족한 문화서비스를 충족시켜 주는 공간으로서 제대로 된 문화원 건물이 지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전주문화원은 전주에 대한 역사, 문화와 관련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기존에는 문학인 관련 사업이나 잡지 출간 등이 활발히 이뤄졌다면 현재는 향토문화재 발굴, 조사 등 향토사업 위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원장에 취임한 김진돈 전주문화원장은 “전주문화원에서 할 수 있는 문화재 조사, 발굴 사업 등을 1년 내내 진행하고 있다”며 “내부적으로는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고 했다.
다만, 전주문화원을 모르는 이들에게 문화원을 알릴 수 있도록 콘텐츠와 공간 확장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공감했다. 김 원장은 “현재는 수강생 20여명 남짓 들어올 공간밖에 없어 시민들이 찾아와도 엄두가 안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