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줌] 전주 원도심 고물자골목에 문구샵 오픈한 김채람∙정한슬 부부

지역에서 행사, 마켓, 영상제작 활동 펼쳐 온 김채람‧정한슬 부부
벌이 걱정보다 "즐겁고 흥미로운 일" 실행 위해 고물자골목에 정착
지난 주말 문구샵 'Clip a day' 오픈‧…전주 자원 활용한 상품 제작 계획

image
(왼쪽부터) 정한슬, 김채람 씨/사진=박은 기자 

 

자영업을 하면 돈이 남거나, 사람이 남는다. 어쩌면 둘 다 잃거나, 둘 다 얻을 수도 있다.

통계상으로는 둘 다 잃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냉혹한 현실에서 돈도 벌고 사람도 얻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고 일을 벌인 사람들이 있다. 로컬 크리에이터로 지역의 속사정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김채람(39)∙정한슬(39) 부부이다. 

그들은 1년 전까지 프리랜서로 지역에서 재미난 일을 기획하고, 지역 청년들과 창의적인 활동을 도모하던 로컬 크리에이터였다. 김채람 씨는 남부시장 청년몰에서 지역 작가, 청년들과 야시장 행사를 2년간 운영해 온 베테랑 기획자다. 행사와 마켓 기반의 일들을 중심으로 오랜 시간 로컬의 생태계를 파악해 온 인물.

전주 원도심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일도 열정적으로 진행해왔다. 지난해에는 친구들과 재건축으로 사라질 효자주공 3단지를 기록해 책 <효자, 시절>로 펴냈다. 정한슬 씨도 지역을 카메라에 담는 영상제작 활동을 오랫동안 해왔다. 

현장의 열기를 느끼며 살던 그들이 전주 원도심인 고물자골목에 <기록상점 Clip a Day> 문패를 걸고 문구샵을 열었다.

골목에 상권이 없다 보니 주변 어르신들은 “너희 여기서 어떻게 문구점을 하려고 하냐”며 걱정했지만 동갑내기 부부는 “이곳이 우리 노후대비 같은 곳”이라며 의연했다. 벌이에 대한 걱정보다는 놀 궁리에 행복한 두 사람을 14일 상점에서 만났다. 

문구샵 Clip a Day에서는 메모패드, 클립, 연필 등을 판매하고 있다. 지난 주말 가오픈해 영업을 시작했다.  당장은 아니지만 조만간 맞춤형 노트제작 서비스도 운영할 계획이다. 취향에 맞는 종이 크기를 골라서 한권의 책처럼 만들어주는 서비스다. 또한 전주 한지를 이용한 소품 제작도 구상하고 있다. 

채람 씨는 "한지가 전주의 대표적인 아이템이지만 기념품이나 일상생활에서 쓸만한 제품이 많지는 않은 것 같다"며 "접근하기 쉽고 사용하면서 소장하고 싶은 물건들을 구상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자신들의 두 손, 두 발로 인생 2막을 열어젖힌 두 사람은 문구샵이 '전주에서 꼭 들러야 하는 곳'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고 했다. 사람들이 머물다 갈 수 있는 공간,  재밌는 에피소드를 선사하는 선물 같은 공간이 되고 싶다고 했다. 

상점을 방문하는 이들이 전주를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도록 전주의 자원을 이용한 문구 상품도 직접 개발하고 있다.

한슬 씨는 “타지에서 초코파이 먹으려고 전주 풍년제과를 찾듯이 기록상점도 사람들이 꼭 찾아오는 공간으로 성장해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채람∙정한슬 부부는 "흥미로운 일을 해보자"는 생각에서 문구샵을 오픈하게 됐다고 했다. 하지만 재미만을 좇아 문구샵을 열게 된 건 아닐 것이다. 사람이 떠나버린 도심에 둥지를 트는 일은 엄청난 용기가 수반되어야 가능한 일이기에.  

한옥마을과 가까운 입지조건과 저렴한 월세, 고물자 골목에 스며있는 ‘힙(hip)스러움’ 등 그들이 원도심으로 오게 된 이유는 다양하다. 하지만 둥지를 틀고 생활 하기로 마음 먹은 것은 골목을 지켜온 사람들 때문이지 않을까. "문구점을 어떻게 여기서 하려고 하냐"는 어르신들의 애정어린 걱정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은 오직 고물자골목 뿐이니 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