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도보여행가 신정일이 길어올린 '이토록 매혹적인 역사여행'

역사의 문화적 근간 이루는 사찰, 서원, 정원, 자연명승 55가지 담겨
신정일 "이 땅의 숨어 있는 절경들이 행간을 가득 메울 것"

image
이토록 매혹적인 역사여행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신정일 작가에게는 으레 두 가지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문화사학자’ 그리고 ‘현대판 김정호’.

40년 간 우리 산과 강, 바다를 누비며 도보여행의 신세계를 열었던 저자는 남도에서 동해까지 관통했던 ‘해파랑길’을 기록했고, 발길과 눈길이 닿는 모든 곳에 얽힌 지리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엮어 ‘신택리지’를 세상에 선보였다. 

그러나 두 수식어만으로 신정일을 설명할 수 있을까. 도보여행가로서 두 발로 걷고 기록한 것들은 단면에 불과하다. 그가 탐독한 조선왕조실록부터 택리지까지 수많은 역사지리서는 여행을 기록하는데 중요한 연료가 됐기 때문이다.   

신정일 작가의 밀도 높은 역사·문화적 서사를 엿볼 수 있는 책이 최근 출간됐다. '도보여행' 선구자로서 현장감도 놓치지 않았다. 

 

image
신정일 문화사학자/사진=전북일보 자료사진 

 

 

신정일 <이토록 매혹적인 역사여행(사찰‧정원‧절경‧문화유적으로 만나는 우리 역사 55)>(깊은샘)에는 저자가 아로 새긴 쉰다섯가지 역사여행의 진면목이 담겨있다. 우리 역사의 문화적 근간을 이루는 주요 사찰과 서원, 정원, 자연명승, 문화유적을 저자 특유의 시각과 해석으로 풀어냈다. 

저자는 땅끝 해남 미황사 달마고도에서부터 섬진강 길, 광주 무등산, 강진 다산초당을 거쳐 철쭉꽃과 진달래가 수놓인 합천 황매산과 충북 제천 충주호까지 매혹적인 역사여행길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특히 자신이 최소 세 번 이상 걸었던 우리 산하의 역사를 인문적 성찰로 서술한다. 선운사와 부석사 등 우리나라 대표 사찰을 통해 불교문화에 대한 시각을 전달하고, 사원을 통해 조선유학자의 높은 이상세계를 조명한다. 

"안양루 밑으로 계단을 오르면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중 빼어난 조형미를 간직한 부석사 석등이 눈앞에 나타나고, 뒤로 나라 안에서 가장 아름다운 목조건축인 무량수전이 있다" ('나라 안에서 가장 빼어난 절, 경북 영주 부석사' 중에서)

봄‧여름‧가을‧겨울로 구성되어 있는 책은 전남 해남부터 강원 정선까지 전국 팔도의 사계절을 오롯이 느낄 수 있도록 사진을 수록해 시각적 즐거움을 전한다. 

신정일 작가는 “답사를 마치고 돌아와서 긴 여운이 남는 아름다움 풍경들이 머물러 있다가 한 편 한 편이 글이 되어 세상 속으로 나갔다”며 “이번에 펴내는 책에는 이 땅의 숨어 있는 절경들이 행간을 가득 메울 것”이라고 책을 소개했다. 

현재 사단법인 ‘우리땅걷기’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정일 작가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했다. 1989년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 ‘길 위의 인문학’을 만들어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신정일의 신택리지> 10권을 비롯해 <강답사여행기> <역사인물교양서> 등 110권을 펴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