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김영 디카산문집 '파랑 한 발채' 출간

2020년 출간한 시집 '파이디아' 에서 영감 받아 바다 관련 글쓰기 시작
바다를 보고 떠오른 생각 글과 사진으로 엮어 출간

image
김영 시인/사진=전북일보 자료사진 

 

김영 시인이 디카산문집 <파랑 한 발채>(인간과문학사)를 펴냈다. 

시인이 펴낸 디카산문집 <파랑 한 발채>는 지난 2020년 인간 사이의 사막을 주제로 펴낸 시집 <파이디아>의 연장선에 있다.  ‘사막은 원래 바다였다’는 말에 영감을 받아 바다와 관련된 글쓰기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시인은 어설프지만 바다를 보고 떠오른 생각을 차곡차곡 글로 옮겨 적었고, 사진과 함께 책으로 출간했다. 

“배 지나간 자리에 물띠가 일어납니다/물띠는 아무것도 맬 수 없고 아무도 매어둘 수 없습니다//당신이 지나간 마음엔 당신이 떠나던 길이 선명합니다/걸어도 걸어도 당신에게 갈 수 없는 길입니다/기다려도 기다려도 당신이 내게 오지 않는 길입니다”(‘물띠’ 전문)

image
디카산문집 '파랑 한 발채' 표지./사진=인간과문학사 제공 

그가 4년 만에 펴낸 산문집에는 자신의 가치관이 그대로 녹아 있다. 그에게 바다란 자신인 동시에 타인이 되기도 하고, 우리가 되는 우주 만물인 신비한 존재이기 때문이었다. 

책은 변산 앞바다 파도의 곱디고운 풍경과 함께 고요한 날들을 바라는 마음이 담긴 글로 끝을 맺는다. 모든 이의 앞날이 윤슬처럼 반짝이고, 물결처럼 고요하길 바라는 시인의 따뜻한 메시지가 큰 울림을 선사한다. 

김영 시인은 “나에게 타자는 언제나 출렁거리는 문장”이라며 “이 책의 수많은 타자인 당신은 너이기도 하고 나 이기도 하고 우리이기도 하고 절대자이기도 하고, 우주 만물이기도 하다”고 책에 대해 소개했다.

시인은 <눈 감아서 환한 세상>으로 문단활동을 시작해 <나비 편지> <수평에 들다> <파이디아> <벚꽃 지느러미> 등을 펴냈다. 윤동주문학상과 석정촛불시문학상 대한민국 예술문화대상(대상) 외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전북문인협회장 전북문학관장을 역임했고, 현재는 석정문학회장으로 활동중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