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공유주방 형태, 외지업체 1곳 사용 전부
민간업체 사용 허가 등 전주시 조례 전부개정
시, 전북 소재 김체업체 대상 7월 운영자 공모
재정 손실 등 부실 운영으로 비판받아온 전주김치산업관의 운영 방식이 전면 개편된다. 전주김치산업관의 운영자를 선정해 운영 효율을 높이는 게 골자다.
전주시는 지난달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주김치산업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전주시는 전문적인 김치 제조·가공 기술 및 경력이 있는 민간업체에 사용 허가하는 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하고자 조례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유주방으로 기능하기엔 한계가 분명하다는 판단에서다.
전주김치산업관은 국비 30억 원과 시비 55억 원 등 85억 원을 투입해 전주 도도동에 지은 시설로 김치 제조라인, 양념 공급라인 등을 갖췄다. 2022년 5월 준공했지만 장기간 방치되다 2024년 6월 공유주방 형태로 개관했다.
공유주방은 예비 창업자 등의 초기 투자 부담을 줄이고 창업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도입된 운영 방식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공유주방을 이용한 기업은 익산에 본사를 둔 외지업체 한 곳으로 나타났다. 공유주방이라는 말이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애초 전주김치산업관은 생산라인이 1개에 불과해 여러 업체 간 '공유'가 불가능한 구조다.
더욱이 공유주방 사용료는 비교적 저렴해 외지업체 한 곳이 일정 기간만 사용할 경우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전주시는 전주김치산업관의 운영자를 선정해 운영하면 이 같은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전주 소재 김치업체는 2곳에 불과해 전북 소재 김치업체로 범위를 확대해 운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전주김치산업관 사용료는 '전주시 공유재산 관리 조례'에 의해 산정한다. 이 경우 사용료는 연간 6200만 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과금 등 부대비용도 운영자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그동안 전기세, 수도세 등 공과금은 전주시가 부담해 왔다.
이와 관련 전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지적된 부분들을 보완하고자 조례 개정을 추진하게 됐다"며 "해당 개정안이 6월 시의회 회기에서 통과하면 7월 운영자 공모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