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무장읍성에서 열린 ‘제5회 무장읍성 축제’가 지난 10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관광객들이 축제장을 찾아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현장을 함께했다. 특히 올해는 관람객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마련돼, 지역의 역사적 가치와 공동체의 힘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 프로그램인 ‘역사 골든벨’은 무장읍성과 고창군의 역사·문화에 대한 지식을 겨루는 퀴즈대회로, 가족 단위 참가자와 학생들의 높은 참여를 이끌어냈다. 자연스럽게 지역 역사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무장읍성에 대한 애정을 일깨우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는 평가다.
‘함께 그리는 무장읍성 그림대회’에서는 참가자들이 무장읍성의 풍경을 각자의 시선으로 그림에 담아내며, 창의성과 감성을 발산했다. 완성된 작품들은 행사장 곳곳에 전시되어 또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하며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비가 내리는 와중에도 진행된 ‘가래떡 60.8m 뽑기 퍼포먼스’는 무장읍성 축성 608주년을 기념해 지역 기관단체장과 주민들이 함께 릴레이 형식으로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퍼포먼스는 지역 공동체의 끈끈한 정과 자긍심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무장읍성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무혈 입성으로 시작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이를 반영하듯 올해 축제에는 ‘전봉준 장군의 밀서를 찾아라!’, ‘녹두떡 나눔’, ‘암호 해독 미션’, ‘녹두꽃 클레이비누 만들기’, ‘비격진천뢰 입욕제 만들기’ 등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 콘텐츠가 마련돼 전 세대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또한 포토스팟 SNS 이벤트, 꽃화분 나눔 행사 등도 함께 진행되어 축제 분위기를 더욱 따뜻하게 만들었으며, 군기고에서 발견된 비격진천뢰 모형과 무장읍성 관련 사진전은 관람객들에게 무장읍성의 군사적·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할 기회를 제공했다.
조선시대 호남 방어의 요충지로 조성된 무장읍성(사적 제346호)은 관과 민이 함께 축조한 대표적 읍성으로, 동학농민군의 '무장기포'가 있었던 유서 깊은 장소다. 이번 축제를 통해 무장읍성이 단순한 유물이 아닌, 지역민과 관광객이 함께 호흡하는 살아 있는 문화자산임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역사와 문화를 친근하게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큰 공감을 얻었다”며 “앞으로도 고창의 정체성을 담은 무장읍성 축제를 지역 대표 문화행사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무장읍성 축제는 역사와 현대가 어우러진 복합문화행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며, 고창군민과 방문객 모두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한 의미 있는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