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 대표콘텐츠 개발사업’두 번째 시리즈 공연
다양한 세대의 삶을 조명, 더욱 폭넓은 공감대 형성
“서로 다른 낡음에 새겨진 에피소드, 새로운 이야기들로 채워질 이 도시의 틀, 내가 아닌 그대들이 되찾은 젊음.”
낭독형 연극 ‘댄스 플로어’는 지역 산업화의 흐름 속에서 살아온 주민들의 삶을 섬세한 시선으로 풀어낸다. 지난 7일, 팔복예술공장 야외공연장에서 펼쳐진 이번 공연은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팔복의 산업사와 지역 정서를 밀도 높은 연기와 절제된 연출로 담아내며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냈다.
공연은 작가의 낭독과 함께 객석 사이를 지나 무대를 향해 걸어가는 배우들의 움직임으로 시작된다. 회색빛 일상 속을 무기력하게 살아가던 한 남자의 등장과 함께 극은 본격적인 전개를 맞이한다. 변화에 대한 갈망은 있지만 쉽게 행동에 나서지 못하던 그는, 어느 날 뜻밖의 하루를 맞는다. 유쾌한 수복 할매, 엉뚱한 중덕 할배, 까칠하지만 따뜻한 순애 아주머니, 그리고 성실한 강사 동규와의 만남을 통해, 그는 조금씩 마음을 열고 자신의 내면에 숨겨진 열정을 마주하게 된다. 그렇게 남자는 팔복의 시간을 디디며, 자신도 몰랐던 삶의 리듬을 다시금 발견해 간다.
특히 ‘팔복의 터줏대감’으로 불리는 수복 할매, 중덕 할배, 순애 아주머니가 각자의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은 이 작품의 백미다. 별다른 무대 장치나 수많은 조연 없이도, 배우들의 맛깔난 연기와 절제된 효과음만으로 관객들을 자연스럽게 그들의 젊은 시절로 데려간다. 그 장면들은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세월이 흘러도 바래지 않는 기억의 온기와 무게를 생생히 전한다.
‘댄스 플로어’는 전주문화재단이 추진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작된 ‘문화예술교육 대표콘텐츠 개발사업’의 두 번째 시리즈 공연이다. 60세 이상 지역 시민들의 실제 구술을 바탕으로 극본을 구성해, 더욱 생생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2023년 시즌Ⅰ 공연인 ‘엄마의 카세트테이프’가 팔복의 여공들에 주목했다면, 이번 시즌Ⅱ는 할머니, 할아버지, 엄마 등 보다 다양한 세대의 삶을 조명하며 더욱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한다. 특히 지난해 유료로 진행된 것과 달리, 올해는 무료 공연으로 진행돼 더 많은 시민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작품의 연출을 맡은 오민혁 연출가는 “이 이야기는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다. 아주 일상적인 이야기고 또 우리 이웃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며 “별거 아닌 이 이야기들 속에서 관객분들이 일상의 활력들을 좀 찾고 앞으로도 또 웃으면서 좀 살아 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6월 한 달 동안 펼쳐질 팔복의 리마스터링, 그리고 우리 모두의 잃어버린 젊을 되찾는 여정에 함께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지역의 과거를 오늘의 언어로 풀어낸 연극 ‘댄스 플로어’는 “내 이야기 같지만 누군가의 이야기”라는 연극 본연의 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팔복의 시간과 정서를 무대 위에 아름답게 새겨 놓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