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시장 불모지로 꼽히며 침체기를 겪고 있는 전북 화단이 새 정부 출범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문화예술을 국가경쟁력의 핵심 요소이자 국민의 삶을 결정짓는 기반”이라고 언급하며 문화의 일상화∙보편화∙지역화를 강조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인들의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 확대와 전문 조직 설립 추진을 공약한 만큼 지역 미술시장에 새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북에는 ‘화랑’이 없다
작가와 관람객을 연결하고 지역 미술 문화를 이끄는 미술관들이 여러 형태로 조성되고 있지만 전북의 미술시장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전국적으로 미술시장 침체기가 장기화한 상황에서 미술시장 유통을 담당하는 지역 화랑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전북 유일 미술품 전문 경매회사 A옥션에 따르면 도내 낙찰 고객은 전체 미술시장에서 2% 비율도 되지 않는다. 현재 온라인 경매를 진행하고 있는 A옥션의 지역별 고객 비율은 서울·경기 60%, 대구·부산·경남 30% , 충청·강원 ·전라·제주 10% 순이다.
88올림픽 전후로 미술시장은 한때 붐을 이뤘다. 다른 예술 장르와 달리 개인의 소유권이 확실하고 거래가 쉬운 미술의 특성은 시장 확장을 촉진했다. 미술 경매가 활발했던 1990년대만 하더라도 전북예술회관을 중심으로 얼 화랑과 솔화랑 등 상업 화랑이 부흥했다. 하지만 현재는 상업 화랑이라 할 수 있는 곳이 1곳 정도에 불과하다.
A옥션 관계자는 “미술시장이 형성되려면 수요와 공급이 이뤄져야 하는데 냉정하게 현재 전주에서는 팔릴만한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가 드물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활동하는 작가는 많지만, 미술작품 구매층이 두텁지도 않다. 지역 고객들은 그림에 1000만 원 이상 투자하는 것을 꺼려한다. 수요가 없고 투자가 없으니 시장 형성이 미미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창작자 지원 확대…문화강국 천명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5대 문화강국 실현과 K컬처 시장 300조원 시대 개막’을 내세우면서 한국 문화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공약집에도 문화콘텐츠 국가지원 체계 확대, 한류 문화콘텐츠 인프라 구축, 문화예술 인재 양성, 창작 공간·비용 등 지원 강화 등이 담겨있다. 특히 문화계 숙원이었던 문화재정 2% 달성 실현 가능성에 미술·문학·출판 등 순수예술 분야의 체질 개선 가능성도 높아졌다.
작가로 활동중인 한 예술인은 “예산과 인력, 시설 대부분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창작 기반이 취약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다행히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소규모 창작자들이 겪는 기회 불균형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의 정책들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인력양성 다변화 시급
전문가들은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예술 생태계와 미술시장이 조성되려면 평론가, 큐레이터, 딜러 등 시장의 기본적인 시스템이 갖춰질 수 있도록 다양한 인력이 길러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지역에 창작자는 많지만 전문가의 시선으로 창작자를 발굴하고 성장시킬 큐레이터가 부재하고, 작품을 시장에 판매하고 홍보할 기획자가 귀해 지역 미술시장이 현실에만 안주하게 된다는 지적이다.
현재 전북은 역할 분담 없이 작가들이 생산과 유통을 모두 담당하다 보니 공공 재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공공예산에만 의존하기엔 지역에 지원하는 예술가는 많고, 문화적 갈증은 갈수록 심해져 자생력을 가질 수 없게 된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라도 새 정부 출범을 기점으로 지역 미술 인력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창작자 양성을 중심으로 예술 경영, 큐레이팅, 비평 등 다양한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임진아 전북문화관광재단 본부장은 “결국은 지역 예술도 산업이 돼야한다”라며 “지역에서도 예술가들에게 한정된 예산으로 창작활동만 지원할 게 아니라 중앙무대에서 지역 작가들이 주목받을 수 있도록 큐레이팅할 기획자를 양성해야 할 때”라고 했다. 그러면서 “학예사나 큐레이터가 작가들에게 새로운 언어를 던지고, 그로인해 작가들은 좋은 창작물을 생산하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야 지역 미술 시장도 변화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