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13 수해’ 이후 폭우 때마다 침수 반복···"배수 한계 넘었다"
저지대 지형 탓에 수십억 들인 배수펌프장·압송관 설치도 효과 미미
"폐업 수준 피해, 보상은 찔끔"···상인들 "피해지원금 현실과 동떨어져"
군산시 나운동 구)보건소 사거리와 신풍·송풍동 일대가 해마다 집중호우 때마다 침수 피해에 시달리고 있어, 근본적인 배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형적 한계와 배수 체계의 구조적 취약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200년 빈도의 극한 호우’가 쏟아지면서 해당 지역이 또다시 물에 잠겼다.
이 지역은 고지대인 백토고개와 구)보건소 일대에서 급격히 흘러드는 빗물과 함께 각종 쓰레기가 하수구를 막아 배수 기능이 마비되는 일이 빈번하며,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군산시는 2013년 ‘8·13 수해’ 이후 수십억 원을 들여 우수저류시설과 배수 펌프장, 압송관로 설치 등 대책을 마련해 왔지만, 이번 집중호우는 시설의 처리 용량을 넘어서는 강우로 배수 효과는 한계에 부딪혔다.
시설은 정상 작동했지만, 설계 기준을 초과한 폭우 앞에서는 역부족이었다.
전문가들은 해당 지역이 구조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해 있는 만큼, 단편적인 시설 보강으로는 반복되는 침수를 막기 어려워 종합적인 검토 및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하수도 기본계획의 강우 빈도 기준부터 재검토하고,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배수 체계 점검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복구 지원금에 대한 피해 주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피해 규모에 비해 보상이 턱없이 부족해 현실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실제 지난해 7월 군산에는 시간당 최고 132mm의 강수량을 보였는데, 이 때도 해당 지역 상점 상당수가 침수, 수천만 원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지원금은 300만~500만 원 수준에 그쳤다.
상인 문 모 씨는 “집중호우만 오면 장사를 포기해야 한다. 피해액은 수천만 원인데 보상은 고작 수백만 원이라 실질적인 도움이 안 된다”라며 “보험제도 강화, 긴급 금융지원, 상권 회생 같은 중장기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상인 양 모 씨도 “공직사회의 피해 복구 노력은 감사하지만, 누적되는 피해와 지원금 사이의 괴리가 너무 크다”라며 “체감할 수 있는 지원과 침수 예방을 위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시 관계자는 “기존 배수 시설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이번 호우로 재확인했다”며 “국비 지원을 포함한 근본 대책 마련을 중앙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