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보훈부장관 "서훈 수여 문제 토론 통해 합의과정 거쳐 결론 내겠다"
윤준병 국회의원 "일부 역사학자 신중론 조언은 허무맹랑한 사유" 반박
사진제공=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참여자에 대한 독립유공 서훈 수여 문제가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당시부터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역사학계 일부에서 보훈부장관에게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2일 서울지방보훈청에서 열린 동학농민혁명 관련 단체 대표단과 권오을 보훈부장관 간담회에서 나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윤준병(정읍·고창)국회의원은 SNS를 통해 "권 장관이 간담회 전에 권위있는 역사학자들께 동학농민혁명의 서훈에 대해 의견을 들었는데 상반된 조언이 있었다"며 "자신이 직접 토론을 주재해 합의과정을 거쳐 결론을 내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며 전향적인 자세에 감사의 뜻을 밝혔다.
특히 윤 의원은 "신중론을 조언한 분들의 사유를 듣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너무 허무맹랑해 역사학자, 항일의병 전문가로 알려진 분들의 수준에 대해 허망함이 뇌리를 떠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원로역사학자가 신중론을 조언한 사유 중 하나는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가 비록 항일투쟁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일본군 및 관군 연합군과 싸웠기 때문에 순수한 항일투쟁과 다르다는 것이다.
또 다른 사유는 동학농민의 서훈을 인정하면 독립 유공의 서훈자가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동학농민의 서훈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윤 의원은 "사실상 국권을 침탈당해 친일(괴뢰)내각이 작동한 시기로 일본군은 관군과 연합군을 구성해 항일 의병을 진압하려 했고 의병들은 이들 연합군과 대치하면서 투쟁할 수 밖에 없었다"고 반박했다.
간담회에서 대표단은 “논리적으로는 이미 결론이 났다”며 “1895년 을미의병에 참여한 수백 명은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수여하면서 1894년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에 맞서 항거한 동학농민군의 의거를 정부가 인정하지 않은 것은 논리적으로 모순이며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이윤영(동학혁명기념관장)동학서훈국민연대 공동대표는 “일부 언론에서 동학농민혁명 2차 참여자의 서훈 대상자가 7000명이라는 가짜뉴스가 있지만, 실제로 보훈 대상이되는 유족은 약 480여 명에 불과하다”며 “서훈 수여는 명예 회복이 주목적이고, 예산상의 부담도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간담회에는 권오을 장관을 비롯해 윤준병(정읍·고창)국회의원, 박수현(공주·부여·청양)국회의원, 동학농민혁명유족회 정탄진 회장, 동학민족통일회 주영채 상임의장,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최두현 기획운영부장, 천도교중앙총부 최인경 사회문화관장, 태안동학농민혁명기념관 문영식 명예관장, 동학혁명기념관장 겸 동학서훈국민연대 이윤영 공동대표, 동학서훈국민연대 박용규 상임대표와 보훈부 간부 공무원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