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치매 노인 실종 신고 매년 300건 이상 발생
일상적으로 착용 자연스럽고 거부감 적다는 평가
 
   경찰이 치매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 깔창형 배회감지기 모델을 시범 보급한다.
25일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도내 치매 노인 실종 신고는 지난 2022년 336건, 2023년 321건, 2024년 301건으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치매 노인 실종은 기존의 실종자 수색방식만으로는 조기 발견이 쉽지 않아 경찰의 인력 부담이 가중되고 재정 부담 등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깔창형 배회감지기’를 고안했다.
깔창형 배회감지기는 신발 깔창에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스마트 태그를 삽입해 실종자 주변의 휴대폰을 기지국처럼 활용, 실시간 위치정보를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장치다.
기존의 목걸이형, 밴드형 감지기와 다르게 일상적 착용이 자연스럽고 거부감이 적다는 평가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2023년 제작된 초기 모델은 좌우 깔창의 균형이 맞지 않아 착용을 기피하는 문제가 있었고, 전북경찰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태그가 삽입되지 않은 깔창에도 동일한 두께와 재질을 삽입해 좌우 깔창의 착화감을 개선한 모델을 개발 의뢰했다.
전북경찰청은 올해 5월부터 전주시 보건소와 협업해 개선된 깔창형 배회감지기 100족을 관내 고위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시범 보급했다.
이후 경찰이 약 3개월간 모니터링을 한 결과 기존 실종자 수색에는 평균 6시간 이상이 소요됐던 반면, 개선된 깔창형 배회감지기 착용자의 경우 평균 수색 시간이 21분으로 단축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증 치매 환자 아버지를 둔 A씨는 “깔창형 배회감지기를 받기 전에는 실종 신고와 실종 경보 문자까지 보내고도 26시간, 12시간 만에 발견했었다”며 “배회감지기 깔창을 신발에 착용한 뒤에는 대부분 5분~30분 이내에 발견할 수 있어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깔창형 배회감지기 모델로 인해 수색 동원 인력도 감축된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경찰청 관계자는 “수색 동원 평균 인력을 국내 일평균 임금으로 비용을 환산하면 기존 118만 원에서 7만 원으로 약 94%의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에 전북경찰청은 전주시보건소 치매안심센터와 협력해 깔창형 배회감지기 보급 대상자 선정과 보급, 위치 확인 시스템 운영을 진행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실종된 치매 노인의 발견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확인됐기에 깔창형 배회감지기의 지속적 개선과 확대 보급을 추진 중”이라며 “성공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관련 예산이 뒷받침되어야 하기에 도민들의 관심과 성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