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의 거리까지 한산⋯1시간 둘러보니 20곳 넘게 폐업
"코로나 후 소비 패턴 변화·경기 침체 장기화로 사람 없어져"
"폐업한 곳이요? 한 바퀴 둘러보세요. 얼마나 많은가."
지난 1일 찾은 전주 객사에서 만난 상인이 한산한 거리를 바라보며 이같이 말했다.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에 위치한 객사는 전주시 번화가 중 한 곳이다. 이곳은 예나 지금이나 전주에서 시내로 통한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 8월 말에 발표한 호남·제주지역 소상공인 경제 변화상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북 소상공인 폐업률은 10.5%에 달했다.
전북 소상공인 사업체당 연평균 매출액은 전년(1억 5100만 원) 대비 310만 원 줄어든 1억 4790만 원이다. 호남 권역 중 유일하게 줄었다.
총 사업체 26만 1000곳 중 30%는 연 매출 2000만 원 미만으로, 소상공인 10명 중 3명이 최저임금도 벌지 못했다는 의미다.
이러한 상황을 보여주듯 이날 둘러본 객사는 시내라는 평가가 무색할 정도로 인적이 드물었다. 1시간 동안 둘러본 결과 폐업한 점포가 20곳이 넘었다. 거리에는 온통 임대 딱지가 붙어 있었다. 객사 중심과 인근의 핵심 상권인 영화의거리, 객리단길, 웨딩의거리까지 초토화였다.
영화의 거리에 있는 3층 규모 의류 매장을 포함해 네 곳이 연이어 문을 닫은 모습이었다. 객리단길 중심가도 영업 중인 점포 옆에 폐업 점포가 늘어서 있는 등 핵심 상권조차 무너졌다. 최근 몇 년 새 다시 명소로 떠오른 '웨딩의거리(웨리단길)'마저 상권 침체를 버티지 못했다.
객리단길에서 9년째 가게를 운영 중인 A 씨는 "처음에는 사람 머리밖에 안 보일 정도로 북적였다. 이제는 주말에나 조금 붐비는 정도다. 코로나19 이후 생활 방식이 달라진데다 경기도 침체되면서 회복이 안 되고 있다"며 "벌써 몇 년째 명절이 돼도 사람이 없다. 명절 특수도 옛말이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상인 B 씨는 폐업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는 "처음 입점할 때 권리금을 주고 들어왔는데, 경기가 갈수록 나빠졌다. 직원도 다 정리하고 혼자 주 7일 일했는데 더는 버티기 힘들다"며 "조만간 문을 닫을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