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삭감 여파로 시민 맞춤형 ‘희망도서’ 제도 위축
“독서의 계절인데 신청 막혀” 현장서 아쉬움 잇따라
전주시 “올해 재개는 어려워…내년부터 정상 운영 계획”
 
   전주시가 도서 구입 예산을 대폭 삭감하면서 희망도서 신청 제도 운영에 차질이 생겼다. 책의 도시를 지향하는 것과 대비되는 행보라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전북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전주시는 지난 5일 예산 부족을 이유로 올해 공공 도서관 희망도서 신청을 조기 마감했다. 해당 제도는 시민이 도서관에 원하는 책을 신청하면 비치하는 방식으로, 시민 참여형 독서 문화 확산의 대표 정책으로 꼽힌다.
문제는 도서 구입 예산이다. 매년 큰 폭으로 줄면서 하반기에 조기 마감되는 일이 잦다. 전주시 도서 구입 예산은 지난 2023년 10억 원에서 지난해 6억으로, 올해는 3억으로 줄었다. 2년 새 70%나 삭감된 셈이다.
이에 각 도서관은 주 3회 접수하던 희망도서 신청을 주 2회로 축소했다.
한 공공도서관 관계자는 “다른 도서관에 이미 구비된 도서는 신청을 제한하고, 전체 예산의 97%를 희망도서 구비로 책정하는 등 최대한 많은 시민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다”며 “하지만 신청이 조기 마감되면 민원이 잇따르고, 독서 수요가 높은 시기엔 불만이 커진다”고 말했다.
시민들도 아쉽다는 반응이다.
지역 독서모임 운영자 이모 씨는 “지역 독서 문화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입장에서 상당히 힘이 빠지는 일이다. 책을 사지 못하는 도시에서 ‘책의 도시’를 말하긴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평소 도서관을 자주 이용한다는 김모 씨는 “희망도서 신청 제도는 책을 쉽게 사기 어려운 시민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라며 “특히 독서의 계절인 가을에 신청이 막히니 아쉽다”고 전했다.
전주시는 도서관 운영 관련 예산이 줄어든 배경으로 올해 세입 감소를 들었다.
전주시 도서관평생학습본부 관계자는 “시 전체 예산이 삭감되면서 도서 구매 비용을 비롯한 관련 예산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예산이 소진돼 희망도서 신청 제도는 조기 마감됐지만, 내년 예산이 확정되면 다시 시작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올해 희망도서 신청은 다시 재개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