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혼불문학축제, 옛 서도역 일원서 개최
소설 ‘혼불’ 속 삶과 죽음, 사랑과 공동체의 이야기가 문학을 넘어 마을로 스며들었다.
남원시 사매면 옛 서도역과 혼불문학관 일원에서 열린 ‘제11회 혼불문학축제’가 지난 2일 시민과 관광객들의 호응 속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최명희 작가의 소설 ‘혼불’은 일제강점기인 1930~40년대 남원의 한 유서 깊은 가문 ‘매안이씨’ 문중에서 무너져가는 종가(宗家)를 지키는 종부(宗婦) 3대와 이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마을 ‘거멍굴’ 사람들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이번 축제는 ‘혼불’의 주요 배경지인 서도역과 노봉마을을 중심으로, 문학의 서사를 지역의 일상과 문화로 되살린 것이 특징이다.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봉마을은 실제로 최명희 작가의 본관인 삭녕최씨의 집성촌이다. 최 작가는 이 마을을 ‘혼불’ 속 매안이씨의 마을로 작품화했다.
축제의 대표 프로그램인 ‘혼례길 재연’에서는 신랑·신부 행렬이 풍물패의 장단에 맞춰 마을길을 행진하며 절정의 흥을 이끌었다.
관람객들은 길가에서 행렬을 맞이하고, 전통 혼례복을 입은 신랑·신부와 함께 걷기도 하며 축제를 즐겼다.
남원시민 김모 씨(56)는 “책으로만 접하던 혼불이 실제 마을에서 살아 움직이는 느낌이었다”며 “옛 혼례의 격식과 흥겨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올해 처음 선보인 ‘상여길 재연’은 생의 마지막 여정을 예술로 승화한 무대로 깊은 여운을 남겼다.
상여꾼들의 구령과 상여소리, 전혼(奠魂) 노래가 어우러지자 관람객들은 삶과 죽음, 그리고 이별의 의미를 곱씹는 시간을 가졌다.
올해로 3회를 맞은 ‘혼불문학 최명희 시낭송대회’도 축제 기간 중 열렸다.
대회 대상은 서승원 씨(전주)가 차지했으며, 금상에는 이미경 씨(남원), 은상에는 송원석 씨(광주)와 김미숙 씨(광주)가 선정됐다. 또 동상에는 이용우 씨(광주)와 이광섭 씨(군산)가 손옥순 씨(김천)가 각각 이름을 올렸다.
참가자들은 혼불의 서정과 작가 최명희의 문학혼을 자신만의 목소리로 풀어내며 관객의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김주한 혼불문학축제추진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축제는 문학 속 이야기가 주민과 관광객의 손끝에서 다시 살아나는 자리였다”라며 “사매면이 ‘혼불의 마을’로서 문학적 정체성을 지켜가고, 세대와 세대를 잇는 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