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12:46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옛 전주지법·지검 부지 도시재생 하세월] (하)갈 길 먼 덕진동 재생

전주시 덕진동 일대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구 전주지법과 지검 부지 활용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이 이 일대 공동화 현상이 고착화된 주 요인으로 꼽힌다. 시는 이 부지에 법무부의 ‘로파크(lawpark)’ 시설과 도시지원시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공동주택 등을 세울 예정이지만 법조기관들이 떠난 3년이 된 현재까지 이렇다 할 사업진전이 없는 상태다. 이 때문에 공동화된 구도심을 위한 시의 개발 및 재생 정책 추진 의지가 빈약한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전주지법과 전주지검이 만성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이후 시는 법원과 검찰청 부지에 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문화원형 콘텐츠 체험·전시관 등 다양한 사업들을 구상했지만 유야무야 무산됐다. 현재 가시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전체 부지 중 1/3 정도에 지어질 법무부 문화시설인 로파크일 뿐이다. 이 사업도 지난 1월 초에야 법무부 관계자들이 방문해 기존 건물을 철거할 경우 비용 산정 등의 논의만 시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계획대로라면 2027년에야 로파크가 건립될 예정이지만 예산 확보 등의 과정에서 사업이 지체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나머지 2/3 부지에는 LH 주도로 공원과 도시지원시설 2곳 부지와 공동주택 등을 개발할 계획이지만 지난해 말에서야 LH가 도시개발계획수립 및 지정제안,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한 상태다. 이같은 상황에서 시는 공동주택부지와 공원 부지를 제외하고 도시지원시설에 대한 여러 안을 내부적으로 검토만 하고있을 뿐 도시재생과 관련 있는 어떤 시설을 채워넣을 지는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두고 구 법원과 검찰 부지를 법무부와 LH가 나눠 개발 및 재생을 추진하고 시는 명확한 개발계획을 세워놓지 못하면서 개발 사업이 표류하고 덕진동 공동화가 계속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시 관계자는 “LH가 부지조성을 해줘야 진행될 수 있는 사업들이라서 현재 뭐라 말할 단계가 아니다”며 “도시지원시설 등은 어떤 시설을 건립할지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상태”라고 말했다.<끝>

  • 사회일반
  • 백세종
  • 2023.01.12 17:34

[옛 전주지법·지검 부지 도시재생 하세월] (상)덕진동 공동화 현상 고착

40년 넘게 전주시 덕진동 일대 활성화에 기여했던 전주지법·전주지검이 이전한 뒤 이 일대 공동화가 고착되고 있다. 지난 2019년 만성동으로 두 기관이 이전한 후 쇠퇴일로를 걷는 덕진권역 구도심을 하루 빨리 재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4월 전주시는 기획재정부,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등과 머리를 맞대고 ‘전주 로파크 개발사업' 추진을 논의했지만 현재까지 큰 변화는 체감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에 전북일보는 두 차례에 걸쳐 구 전주지법·지검 부지가 있는 덕진동에서 생활터전을 꾸리고 있는 시민들을 만나 생각을 들어보고 시의 도시재생 계획 추진 현황을 살펴본다. 11일 낮 12시가 조금 지난 시간, 덕진동 법원 자리 앞에서 20년 넘게 중국집을 운영하는 A씨는 전화로 배달 주문을 받고는 “(덕진동 법원) 당시에는 법원·검찰청과 변호사·법무사 사무실이 있어 평일 점심 때만 되면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로 홀이 가득 찼었다”며 손님 2명이 식사 중인 매장 내부로 시선을 던졌다. 배달가방에 포장된 음식을 담던 A씨는 “지금은 홀 손님이 거의 없고, 몇 년 째 배달앱이나 전화주문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인데 그마저도 덕진동내 수요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상황을 전했다. 법원과 검찰청 바로 맞은편 과거 법조 대표 건물들의 공실률 역시 100%에 육박한 상황이고 주변 상가들에 대한 신규 임대는 물론, 문의조차 거의 없는 것이 덕진동의 현실이라는 공인중개업체 측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덕진동에서 5년간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운영해온 B씨는 "현재 불 꺼진 상가 대부분이 법원을 보고 들어왔던 변호사·법무사 사무실인데 법원이 만성동으로 이전하면서 덩달아 둥지를 옮긴 경우가 많다”면서 “덕진동 법원 시절에는 각종 법률사무실이 들어찼던 양대 빌딩인 동승빌딩과 대동빌딩도 지금은 거의 비어 있다”고 말했다. 2년 전 신시가지에서 일을 하다가 최근 덕진동으로 사무실을 옮겼다는 공인중개사 C씨에게는 이 일대 재개발 이슈에 대해서 들을 수 있다. 그는 “현재 구 법원 앞쪽으로 재개발 구역 지정이 추진되고 있어 덕진동 땅값이 많이 올랐다”면서 “현재 법원 인근에 공실이 상당히 많고, 상가 매매 움직임도 있는데 금리가 오르면서 부동산 시장에 다시 빙하기가 왔다”고 설명했다. 구 법원 맞은 편 정류장에서 버스를 내려 집으로 향하던 주민 D씨는 이 동네에서 40년을 살았다고 했다. D씨는 “이 동네가 거리상 전북대학교와 멀지 않고 건강관리협회에 진료를 보러 오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 낮에는 아무래도 차가 많이 다닌다”며 “하지만 밤에는 인적이 거의 없다시피 하고 빈 간판에 불 켜진 데가 없어 분위기가 으스스하다"고 전했다. D씨의 말 대로 이 일대는 밤이 되면 오가는 사람이 없고 조명까지 어두워 사실상 빈 도시 느낌까지 들 정도라는 것이 시민들의 이야기다. 덕진동 주민 E씨는 "법원과 검찰청이 떠날 때만해도 시에서 공동화를 막기 위해 부지에 각종 시설 확충과 투자를 한다고 했는데, 3년이 넘도록 아무것도 안 하면서 덕진동이 버려진 도시가 된 것 같다"며 "하루빨리 시에서 대책 마련을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 사회일반
  • 김태경
  • 2023.01.11 17:28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