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3-03-28 10:32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치일반
자체기사

군산조선소 부활 날갯짓 속 조선업계 인력난 가중…전북도 조선업 인력 수급 ‘온 힘’

현대중 군산조선소 및 지역업체 소요인력 1806명
2022년 1288명 고용, 추가 필요인력은 518명
전북도 인력수급 대책 세우고 방안 마련 나서

image
선박용 블록 첫 공정인 강판 절단 작업을 하는 모습. 사진제공=군산조선소

전북 조선업계의 인력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 조선업 수주 실적은 호황이지만 수주 목표치 축소 등 다양한 변수가 혼재한 만큼, 조선소 정상화를 위한 안정적인 인력 확보가 시급하다.

전북도는 인력양성과 채용연계 사업 등을 통해 인력수급에 나설 방침이다.

31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조선업 관련 고용인원은 군산조선소 489명과 지역 조선업체 799명을 포함해 모두 1288명으로 집계됐다. 전북도가 올해 소요 인력으로 전망한 1806명에 비하면 518명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다. 군산조선소 428명과 지역 조선업체 90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전북도는 필요 인력 수급 대응으로 현장 및 기본 교육을 통한 인력 양성과 조선업 도약센터 운영을 통한 추가 인력 수급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전북도와 군산시, 훈련기관에서 700여 명을 교육하고, 350명 채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교육정원이 모두 충족되지 않아 발생한 168명의 인력 부족분에 대해서는 추가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전북도는 조선업 도약센터 운영을 통해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업 도약센터는 조선업 특화사업으로, 기존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으로 운영됐던 ‘군산 고용위기종합지원센터’를 조선업 도약센터로 바꾸고 조선업 플러스 일자리 사업 연계, 조선업 네트워크 구축, 취업 지원 등을 진행한다. 전북도는 올해 센터 채용 연계 목표도 500명으로 예상했다.

전북도는 향후 군산조선소 물량 확대 계획 확정이 이뤄질 경우 추가인력 소요에 대응하고, 외국인력 도입 관련은 현대중공업 본사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안이다.

다만, 실제 물량 확대까지는 요원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군산조선소는 현재 배를 완성하는 게 아니라 조립품인 블록을 생산해 울산조선소로 납품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완전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군산조선소의 완전 정상화를 위해서는 점진적으로 블록 물량을 확대하고,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에 맞춰 LNG·LPG 탱크도 군산조선소에서 제작할 수 있는 여건 등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특히, 최근 2∼3년 치 일감을 확보한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수주 실적보다 수익성 극대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실제 지난해 115억 달러를 수주한 현대중공업은 올해 94억 달러로 목표치를 낮췄다. 올해 수주 전망이 어두운 이유는 높은 금리 수준과 이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선주들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급등한 신조선가의 하락을 기대하며 발주 시점을 늦추는 경향도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업 #인력난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