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3-03-28 11:19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회·정당
자체기사

프리 총선 전주을 재선거 ‘협치강화VS정권견제’ 구도

여당의 힘 활용하는 균형과 협치냐 윤석열 정부에 대한 반감이냐 선택 기로
선거 본격화되는 3월부턴 전주에 모든 정치적 이슈 집중
1년 임기의 국회의원 선거지만, 실제로는 총선 수준의 의미 내포
결과에 따라 정권과 지역정치세력 균형이냐, 여당에 대한 전주시민의 불신임이냐 판가름

image
[연합뉴스 자료사진]

선거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가 프리(pre) 총선의 성격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번 선거는 표면적으로 1년 임기의 국회의원을 뽑는 재선거지만, 내포하고 있는 정치적 함의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선거전이 절정에 이를 오는 3월부터는 전주을에 모든 정치적 이슈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1일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는 전주을이 유일하다. 전주을이 전국 이슈지역으로 떠오른 배경은 여당 후보가 호남지역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큰 지역구로 분류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이 무공천을 결정하면서 선거의 당락은 전주시민들이 전북정치에서 여야 균형과 협치를 중요시하느냐, 반대로 정권견제를 원하느냐를 가늠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선거 결과에 따라선 여야의 총선 전략이 완전히 달라질 수도 있다. 여당의 경우 전주을 선거에서 패배하면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과 충청 텃밭인 영남권에만 정권의 혜택을 몰아주는 방식의 전략을 선택할 수도 있다. 민주당의 경우 28석의 호남 대신 전국정당으로 확산 전략을 지속할 것으로 분석된다.  

민주당이 무공천을 결정하고, 당 차원에서 무소속이나 타 정당 후보를 돕지 말라는 지침을 내린 것과는 별개로 민주당 출신의 무소속 후보들이 친민주당 행보를 자처하고 있는 것도 선거의 관전 포인트다. 

실제 무소속 임정엽 예비후보는 이번 선거 출마 목적으로 ‘윤석열 정부 심판’을 강조하고 있다. 임 예비후보는 “(전주시민들이) 폭주·무능정권에 엄중한 경고를 해주셔야 한다”며 “여당 후보에게 자리를 내준다면 폭주정치가 계속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김호서 예비후보도 선거사무소를 개소하며 “집권 여당과 윤석열 정부의 무한독주를 막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는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며 친민주당 후보임을 어필하기도 했다. 임 예비후보는 “이재명 기본사회 구상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고, 김 예비후보는 최근 이 대표의 전북방문을 환영했다.

진보당 강성희 예비후보도 이번 재선거를 ‘윤석열 심판 선거’라고 규정했다. 

반면 국민의힘 주자들은 이번 선거가 정쟁구도로 가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정치적인 선택보다 지역발전을 위한 실익적 측면에서 ‘여당 의원을 적극 활용해 달라’는 논리다.

정운천 의원과 김경민 예비후보 등 국민의힘 주자들은 “정쟁으로 선거전을 몰고가는 것은 경제적으로 고립된 전북과 전주의 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최근 출마를 선언한 정운천 국민의힘 전북도당위원장은 “이번 선거는 전북특별자치도를 만든 협치를 강화할 것이냐 아니면 완전히 무너뜨리느냐의 문제”라면서 “전주을에 다시 여당의원을 선택해 실컷 부려먹어달라. 호남 유일 보수정당의 재선 지역구 의원이 되면 비례인 지금보다 더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그는 이어 “전북발전에 누가 진짜로 필요한 사람인지를 잘 봐달라”면서 “전북에서 어떤 국회의원이 지역발전에 더 도움이 될지 만을 판단해달라. 제 나이를 생각하면 이번 선거가 호남의 지역 장벽을 깨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