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3-03-25 22:32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치일반
자체기사

전북도 정무수석·정책협력관 ‘나홀로 근무’ 개선책 필요

윤정훈 도의원, 정무라인 일 할 수 있는 여건 만들어야 주문
“정무 대단히 중요한 업무지만 정무수석 등 보좌없이 홀로근무”

image
윤정훈 전북도의원

전북도가 정무 기능을 강화하고 나섰지만 정무라인의 ‘책임과 권한’은 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북도 정무수석(2급)과 정책협력관(3급)의 업무를 보좌하고 수행할 직제마련이 요구된다.

전북도의회 운영위원회(김정수 운영위원장)는 2일 제397회 임시회 개회를 앞두고 전북도 김광수 정무수석과 박성태 정책협력관을 불러 업무보고를 청취했다. 김 수석 등은 동행하는 직원없이 홀로 출석했다. 

김 정무수석은 전직 국회의원으로 전북 내 정무 업무는 물론 청와대와 국회, 전북도의회, 시군의회 그리고 도정 산하 실국들의 국가예산 확보에 힘을 보태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직원이나 직제없이 단독으로 일해야 하다보니 실국 업무와 공조 체제를 이룰 권한이 없어 도정 안의 사실상 ‘나홀로 외딴섬’ 근무자로 불리고 있다.

국민의힘 전주시병 당협협의회 운영위원장이었던 박 정책협력관도 마찬가지다. 전북도가 국가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당인 국민의힘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박 협력관이 여당과의 가교 역할을 해주고 있지만 실국과의 원활한 소통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정무수석과 정책협력관, 대외적 정무 역할을 수행하는 직원들을 한데 모아 ‘전북 정무’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날 윤정훈 의원(무주, 민주)은 “정무수석과 정책협력관은 정치권과 공조하고 모든 도정 사업에 대한 정무적인 역할을 해야 되는데 그 기능을 보좌하는 기능이 너무 적고 매뉴얼도 없다”며 “정무수석이나 정책협력관은 실국 회의하는데 손님처럼 끼어들어가는 게 아니라 주최가 되어 회의를 하는 게 맞다.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있어야 교감도 되고 정부에 가서 제대로 소통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주문했다.

이어 “정무라인은 막강해야 하는데 (일을 할 수 있는)이런 기능을 요구해야 한다”며 “(정무보좌관 등의) 방에 가보니 손님이 와도 차 한 잔 내줄 수 있는 직원도 없더라. (정무는) 대단히 중요한 업무”라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실국장들과 정례적으로 회의도 하고 주체적으로 협의해 사업 방향을 선도해야 하는데, 기능을 보강할 필요성이 크다”며 “일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보강하고 매뉴얼을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광수 박성태 윤정훈
이강모 kangmo@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