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년여동안 순창군에 단 1건의 공장유치도 이루어지지 않은채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공장의 부도만 늘고 있어 지역경제가 불황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특히 소신없는 공무원과 주민들의 집단이기주의로 설립을 희망하는 기업까지 인근 자치단체에 뺏기는 사례까지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지난해 순창군 동계면에 있는 매원식품공장에서 제2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군에 부지선정에 대한 협조요청을 했으나 적합한 부지가 없다는 이유로 거절, 설립이 무산됐다.
반면 이 소식을 접한 남원시에서는 부지선정 알선·각종 민원서류 간소화 등 유리한 조건을 제시, 결국 예상 매출액 연 2백50여억원·종업원 50여명 규모의 매원식품 2공장을 남원에 유치했다.
또 순창읍 복실리에는 양모(49)씨가 레미콘공장을 설립하려 했으나 인근 주민들이 분진(본보 1월 12일자 16면보도) 등 환경오염을 내세워 반대해 3년째 제자리걸음하고 있는데 군과 현재 소송중이다.
이밖에도 타이어공장·축협의 종축장·자동차 하치장 등 여러 사업체가 건립을 원했으나 군 당국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인근 지역으로 옮겨갔다.
이와함께 팔덕면에 50여명이 종사했던 의류제조업체인 (주)원지가 지난해 자금난을 이유로 폐업했고 각종 업소들도 문을 닫아 지역경제가 최악의 불황을 맞고 있어 위기감마저 팽배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대해 지역 주민들은 “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들의 소신없고 무책임한 태도때문에 기회에 놓쳤다는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며 “관련 공무원들의 각성과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