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54%가 쌀시장이 개방될 경우 굳이 국산쌀을 고집하지 않고 가격이나 품질 등 비교우위를 따져 수입쌀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원은 최근 수도권 소비자 610가구와 외식.급식업소 297곳을 상대로설문 조사한 결과, 소비자의 경우 44.5%는 `어떠한 경우에도 수입쌀을 사지않겠다'고 답했으나 54.0%는 수입쌀을 구매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일 밝혔다.
구입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은 외식업체의 경우 66.3%, 급식업체는 63.9%로 일반가정의 소비자들보다 그 비율이 더욱 높았다.
일반 소비자들은 쌀 구입 기준으로 맛(45.4%), 가격(27.2%), 안전성(20.5%) 등을 꼽았다.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쌀(20㎏ 기준)의 가격대는 4만5천∼5만1천원대가 46.9%로가장 많은 반면 외식.급식업소는 4만2천∼4만5천원대가 50.8%로 가장 많았다.
한편 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2001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주식용 쌀의 69%는 가정에서 섭취되고 나머지 31%는 음식점 및 각종 급식 등 외식을통해 섭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의 경우는 외식을 통한 쌀 섭취 비중이 45%에 달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